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조회 수 1289 추천 수 0 2006.04.26 12:35:00

2006.4.21.쇠날. 두 돌잔치에 그대를 맞습니다!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앉은 아이들
- <자유학교 물꼬> 두 돌잔치를 맞으며


바람이 달디 달아서
살아 숨쉬는 것들이라면 수런거리지 않을 수 없는 봄밤이지요.
십수 년을 준비하고
마침내 2004년 삼월삼짇날(양력 4월 21일) 문을 열었던 산골공동체배움터가
두 돌을 맞습니다.

고향을 떠난 이들은 너무 멀어서 못 오고 너무 바빠서 못 와도
아주 먼 곳일지라도 봄이면 어김없이 달려오는 이들이 있습니다.
산수유가 언덕배기에 먼저 닿고
복사꽃 앵두꽃 자두꽃 사과꽃 봄맞이꽃이 뛰어와 숨을 고르지요.
푸른 마늘밭,
못자리를 내려고 가는 쟁기,
어데서 저 많은 것들이 숨어있었던 걸까 싶은 개구리들,
산골 봄날의 그것들만 보고 살아도 큰 배움이겠습니다.
그 밭에서, 들에서, 아이들이 놀며 일하며 커갑니다.
고마울 일입니다.

‘나무를 베면 / 뿌리는 얼마나 캄캄할까’는
어느 시인의 노래를 들었습니다.
아이들 존재 하나 하나에 환한 볕이 들도록 애쓰며 살고 싶습니다.
좋은 일, 즐거운 일에 더 힘을 쏟으며 살아가야겠습니다.

중뿔난 생이 어딨을까요,
나눠주는 마음, 보태주는 손발들이 만든 그늘에서
가난한 산골학교가 이태를 넘길 수 있었지요.
무엇으로도 고마움을 전할 길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다시 찾아온 4월 21일,
날리는 살구꽃잎 위에 올라앉은 아이들이 여러분을 모십니다.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운동장가의 소나무와 살구나무 사이를 선물처럼 걸어 들어와
기쁨 함께 누리소서.

(200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66 2006.3.23.나무날. 맑음 / '두레상' 옥영경 2006-03-27 1287
1365 2007. 6.11.달날. 벌써 여름 한가운데 옥영경 2007-06-26 1287
1364 9월 6일 달날, 포도 다 팔았지요 옥영경 2004-09-16 1288
1363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88
1362 2005.11.24.나무날.맑음 / 샹들리에 옥영경 2005-11-25 1288
1361 2005.12.22.나무날.밤새 눈 내린 뒤 맑은 아침 / "너나 잘하세요." 옥영경 2005-12-26 1288
1360 3월 빈들 여는 날, 2009. 3.20.쇠날. 맑음 / 춘분 옥영경 2009-03-29 1288
1359 2010.12. 2.나무날. 야삼경 화풍이 분다 / 김장 첫날 옥영경 2010-12-22 1288
1358 2012. 2. 5.해날. 흐리다 맑다 / '발해 1300호' 14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2-02-17 1288
1357 7월 23일, 집으로 옥영경 2004-08-05 1289
1356 5월 7일 흙날 안개비로 꽉차 오다 맑았네요 옥영경 2005-05-14 1289
1355 7월 28일 나무날 비 옥영경 2005-08-01 1289
1354 2006.12.29.쇠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89
1353 2007. 2.26.달날. 맑음 옥영경 2007-03-06 1289
1352 2007. 3.27.불날. 정오께 짙은 구름 들더니 빗방울 옥영경 2007-04-09 1289
1351 2007. 9.12.물날. 맑음 옥영경 2007-09-25 1289
1350 2007. 9.28.쇠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289
1349 2008. 1.26-7.흙-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89
1348 2008.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20 1289
1347 4월 몽당계자(130 계자) 이튿날, 2009. 4.11.흙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28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