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조회 수 1240 추천 수 0 2007.02.08 11:50:00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긴요한 차례로 공동체 일을 잡는다면
젊은 할아버지의 짝을 찾는 일이 첫째이겠습니다.
영동 읍내에 말을 넣어 놓은 곳이 있는데,
오늘 사진을 좀 보자고 연락이 왔데요.
“사진이 뭐 사람을 보여주나?”
그래도 우선은 그게 또 인사일 수 있겠습니다.
올 해는 뭔가 잘 풀릴 것만 같습니다.

공동체로 들어오려는 한 가정 면담이 있었습니다.
몇 해를 정성을 다하고 있는 가정입니다.
의리로라도 이제는 들어오십사 하겠으나
공동체 식구들의 의견이 좀 달랐지요.
우리는 왜 그대를 반기지 않는가에서부터 얘기를 시작했고,
한 편 긍정하는 부분은 무엇 때문이지를 들려주었습니다.
그렇지만 처음엔 그저 들어오는 것에 집중하게 되므로
어떤 얘기도 잘 안들리리란 걸 알지요.
그래서 올 해는
‘공동체에 들어오려는 이에게’라는 문건도 마련하여 드렸답니다.
말이 아닌지라 바로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읽고 또 읽으면 낫겠지요.
같이 출발해도 다 다르며
먼저 뛰기 시작했다고 먼저 닿는 게 아니더라,
나중에 가지만 우리 공동체에서 가장 공동체적 삶을 살지 어찌 아는가,
기회는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식구들의 생각이 그러하였습니다.

대해리가 들썩였네요.
한 해를 예서 살아본 집이 서울로 다시 이사를 갑니다.
큰 화물트럭에서부터 트럭이 세 대였습니다.
“그래, 웬 이삿짐이 이리 많아, 시골 살림이.”
앞집 할머니, 이모님(대해리를 들어오던 97년에 처음 맺은 연을 그리 부르게 됨),
착한 할아버지(우리식으로 이래 부르지요) 할머니가 놀라라셨지요.
이삿짐이란 게 부려놓으면 너절하기 매한가지고
다 어느 구석에 들어있던 것일까 나오고 또 나오기 마련이지요.
그래도 대해리에서 좋은 연을 잘 맺어 짐꾼도 많으니
반나절에 짐 싸고 어둑해지기 전 길을 나섰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166 2020.12.31.나무날. 해 짱짱한 낮, 늦은 오후의 눈발, 그리고 훤한 달 옥영경 2021-01-18 390
1165 2021. 1. 1.쇠날. 눈발 사이 잠깐 해 / 연대의 길을 찾는다 옥영경 2021-01-18 417
1164 2021. 1. 2.흙날. 눈 사이 사이 해 옥영경 2021-01-19 376
1163 2021. 1. 3.해날. 맑음 옥영경 2021-01-19 401
1162 2021. 1. 4.달날. 해 옥영경 2021-01-19 439
1161 2021. 1. 5.불날. 흐림 옥영경 2021-01-19 387
1160 2021. 1. 6.물날. 흐려가다 밤 눈 펑펑 옥영경 2021-01-19 437
1159 2021. 1. 7.나무날. 밤새 눈 옥영경 2021-01-19 432
1158 2021. 1. 8.쇠날. 맑음 옥영경 2021-01-19 436
1157 2021. 1. 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27 459
1156 2021. 1.10.해날. 해 옥영경 2021-01-27 396
1155 2021. 1.11.달날. 흐림 옥영경 2021-01-27 462
1154 2021. 1.12.불날. 해 난 아침, 펑펑 눈 내리는 밤 옥영경 2021-01-27 456
1153 2021. 1.13.물날. 맑음 옥영경 2021-01-27 531
1152 2021. 1.14.나무날. 해 옥영경 2021-01-27 496
1151 2021. 1.15.쇠날. 흐림 옥영경 2021-02-06 495
1150 2021. 1.16.흙날. 맑음 / 167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1-02-06 455
1149 167계자 여는 날, 2021. 1.17.해날. 해, 그리고 밤 눈 옥영경 2021-02-06 508
1148 167계자 이튿날, 2021. 1.18.달날. 눈 옥영경 2021-02-07 556
1147 167계자 사흗날, 2021. 1.19.불날. 맑음 옥영경 2021-02-07 4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