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조회 수 1296 추천 수 0 2007.04.16 01:00:00

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댓마의 김희정엄마가 건너와
학교문연날 잔치를 알리는 현수막을 만들었습니다.
영동 읍내에 하나, 황간에도, 매곡은 빼지 뭐, 상촌에도 걸고...
다섯 장의 광목천을 주욱 늘여놓고
척척 잘도 씁니다.
물꼬가 지난 94년부터의 모든 행사에 그렇게 하던 방식입니다.
작년에 여러 엄마들이 붙어 그렸던 그 꽃을 그려도 넣습니다.
어디랄 것 없이 지천일 봄꽃입니다.
참 좋은 봄날입니다...

굳이 사람 손으로 농사를 짓지 않아도
무엇을 먹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산에 들에 먹을 것 넘치는 골짝입니다.
식구들과 언덕에 머위를 캐러나갔습니다.
벌써 머위꽃도 한창이던 걸요.
살짝 데쳐 쓴 기를 빼고 두부를 으깨고 된장을 넣어 무쳐먹었지요.
쑥국도 끓이고 냉이튀김도 냈습니다.
작년에 베어 먹던 자리에 다시 솟은 부추도 잘라
겉절이를 해서 밥상을 차렸지요.
어제 월남쌈을 먹고 남은 재료와 생선소스도 꺼내놓았습니다.
“배부른데 너무 맛있어서 그만 먹을 수가 없어요.”
저녁은 집에 와서 먹으라는 엄마 아빠 말을
번번이 무시하는 종훈이의 찬탄입니다.
우르르 쏟아져 나온 표고를 따와
삼시 세 때 잘 먹고도 있지요.
표고장에서 일하는 남정네들을 위해
묵은 김치로 부친 전과 막걸리를 새참으로 내고,
얼려두었던 떡을 구워
포도밭에서 어른 일손을 돕는 아이들에게 내기도 하였댔습니다.
이러자고 들어온 산골에서
걸음은 늘 바빴고, 흙 한번 묻히지 못하고 지나는 일이 흔했더랬지요.
이 봄이 고맙고,
이 삶이 복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385 2007. 4.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93
5384 2007. 3. 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3-10 1293
5383 2005.12.29.나무날.맑음 / 젊은 할아버지가 내신 밥상 옥영경 2006-01-02 1293
5382 2007. 7. 5.해날. 날 개다 옥영경 2009-07-16 1292
5381 2009. 1.20.불날. 봄날 같은 볕 옥영경 2009-01-31 1292
5380 2008.10.14.불날. 맑음 옥영경 2008-10-26 1292
5379 2007. 3.23.쇠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92
5378 2007. 2.28.물날. 맑음 옥영경 2007-03-10 1292
5377 2005.11.12.흙날.맑음 / 김장 옥영경 2005-11-14 1292
5376 11월 7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292
5375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91
5374 2008.10.1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291
5373 2007. 5.24.나무날. 오후 비 / 못밥 옥영경 2007-06-13 1291
5372 2007. 3.28.물날. 흐리다 비바람 천둥번개 옥영경 2007-04-09 1291
5371 2005.10.18.불날.안개 자욱한 아침 옥영경 2005-10-20 1291
5370 2012. 2. 4.흙날. 맑음 옥영경 2012-02-17 1290
5369 2011. 6. 9.나무날. 흐린 하늘 / 단식 4일째 옥영경 2011-06-18 1290
5368 2009. 4. 8.물날. 여름 같은 봄 하루 옥영경 2009-04-14 1290
5367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90
5366 2007. 8.29.물날. 비 옥영경 2007-09-21 12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