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1.흙날. 구멍 뚫린 하늘

조회 수 1249 추천 수 0 2007.09.23 16:42:00

2007. 9. 1.흙날. 구멍 뚫린 하늘


‘우기’입니다.
세상의 처음부터 지금까지 이렇게 비만 내린 듯합니다.
그 비를 뚫고 광주에서도 손님이 들었습니다.
사회복지사 조상희님이십니다.
공동체와 그룹홈에 관심있다셨지요.
포도밭에 예초기를 돌리겠다고
작업복이며 신발이며 연장들도 다 챙겨온 행운님과 유수님은
잠시도 그칠 줄 모르는 빗줄기에
마음 자꾸 안타까우신 모양입니다.
예가 쉼터가 되어도 고마울 일인데
외려 군식구 되진 않나 걱정이셨답니다.
그래도 어디 가만 계시는 어르신들이신가요,
아이들이 훑고 간 교실들이며 복도 책방 쓸어주셨고
달골 홈통이며 배수구며 두루 돌아봐주시다
뛰어 댕기지 못해 좀이 쑤신 산골 아이를 데리고
산마을 예제 움직여도 주셨더이다.

손님들을 달골로 보내고 간장집에 들어오니
밤 열 시가 훌쩍 넘었습니다.
“어!”
그런데 마루가 흥건했지요.
아이의 옷상자도 다 젖었습니다.
물론 옷도.
이런! 고개를 드니 천장에서 물이 샙니다.
새는 지점이 하나라 다행이지요.
마른 걸레로 닦고 떨어지는 물방울을 보니
다행히 하나입니다.
“요새 할머니들 집도 이렇지 않은데...”
아이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06 2021. 3. 6.흙날. 흐려가는 하늘, 는개비 다녀간 오후 옥영경 2021-03-26 659
5005 2019. 7. 3.물날. 맑되 잠깐 구름 / <사람은 사람으로 사람이 된다>(나쓰카리 이쿠코/공명) 옥영경 2019-08-14 660
5004 169계자 닫는 날, 2022. 1.14.쇠날. 맑음 / 잊지 않았다 [1] 옥영경 2022-01-15 660
5003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660
5002 5월 빈들 여는 날, 2019. 5.24.쇠날. 맑음, 31도였다나 / 열두 마리 버들치! 옥영경 2019-07-24 661
5001 2019.11. 9.흙날. 오후 흐림 / 바짓단 옥영경 2019-12-30 661
5000 2019.10.21.달날. 맑음 / 오늘은 오늘치의 삶을 살아냈고 옥영경 2019-12-05 663
4999 165 계자 사흗날, 2020. 1.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1-26 664
4998 2019. 5.15.물날. 맑음 / 생의 최대 수혜는... 옥영경 2019-07-19 665
4997 2019. 6.29.흙날. 비 / 칼국수를 노래함 옥영경 2019-08-14 665
4996 171계자 이튿날, 2023. 1. 9.달날. 푹하고 흐린 옥영경 2023-01-11 667
4995 2019. 6. 7.쇠날. 종일 비 / 그의 편지를 읽다 옥영경 2019-08-04 668
4994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69
4993 5월 빈들 이튿날, 2019. 5.25.흙날. 다소 흐림 / 느티나무와 홍단풍 모시다 옥영경 2019-07-24 670
4992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670
4991 2015. 9.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0-16 671
4990 2019. 6.20.나무날. 좀 흐린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출간 옥영경 2019-08-07 671
4989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71
4988 2015.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75
4987 2015. 8.25.불날. 비 옥영경 2015-09-16 6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