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10.흙날. 썩 맑지는 않지만 / 지서한훤(只敍寒暄)


“엄마, 엄마!”
지난 주 어느 아침에도 평상에 내린 서리를 긁어
아이는 눈사람을 만들어놓고 에미를 불렀습니다.
올해 첫 눈사람이었지요.
콩까투리며 곁에서 주워 올린 것들이
눈도 되고 입도 되고 있었습니다.
오늘도 이른 아침,
서리는 아이들의 좋은 찰흙이었답니다.

나무를 좀 보러 갔습니다.
이재영 할아버지댁 산에 갔지요.
윤상언 할아버지도 걸음을 같이 해주셨습니다.
나뭇짐, 겨울이면 큰 일이지요.
연탄은 필요한 만큼 재워두었고,
기름이야 연락만 하면 쉬 다녀가는데,
나무는 가을께부터 차곡차곡 준비를 해야 합니다.
요새는 화목보일러가 늘어 구하기 어렵기 더하지요.
예전 밭이었던 산기슭은
묵혀두었던 세월 동안 숲이 되었고,
필요한 만치 베다는 쓰라시는데,
길이 영...
“그래도 고맙습니다.
때다 때다 모자라면 말씀 드리고 베어낼게요.”

‘지서한훤(只敍寒暄)이라던가요.
‘날씨 이야기만 나누다’ 라는 뜻입니다.

“마을 사람 가운데 선한 자와는 반드시 가깝게 따뜻한 마음을 나눠야 한다. 선하지 않은 자에
대해서는 헐뜯는 말로 그의 추한 행실을 드러내서는 안 되니, 다만 덤덤히 대하고 서로 오가지
않는다. 만약 지난 날 서로 아는 자라면, 만나서 날씨 이야기만 나누고 다른 말을 주고받진 않는다.
그러면 저절로 점차 멀어지고 미워하거나 화낼 일도 없으리라.”
; 이이의 <격몽요결> 제 9장 접인

관직을 떠난 다음해 황해도 해주 석담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쓴 것이 ‘격몽요결’입니다.
몽매함을 쳐내는 중요한 비결이란 말이지요.
모두 10장 가운데
집 밖의 마을 사람들을 대하는 예법이 9장에 실렸습니다.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인데도 그와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게 되고, 더불어 말을 해서는
안 될 사람인데도 그와 말을 하면 실언을 하게 된다. 지혜로운 자는 사람을 잃지도 않고,
또 실언을 하지 않는다.”

<논어>의 위령공편과 함께
산골 마을에서 살아가는 지침 하나 되고 있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26 5월 4일, KBS 2TV 현장르포 제3지대 옥영경 2004-05-07 2140
6525 5월 5일, 우리들의 어린이날 옥영경 2004-05-07 1874
6524 5월 6일, 류옥하다 외할머니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5-07 2263
6523 물꼬에서 쓰는 동화 옥영경 2004-05-08 1487
6522 4월 12일-23일, 열 이틀의 행진 옥영경 2004-05-08 1661
6521 노트북컴퓨터 바뀌다 옥영경 2004-05-08 1627
6520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636
6519 물꼬의 어버이날, 5월 8일 옥영경 2004-05-12 1819
6518 밥알 모임, 5월 8-9일 옥영경 2004-05-12 1539
6517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500
6516 우리들의 일어샘 고가 스미코, 5월 12일 옥영경 2004-05-12 2728
6515 5월 13일 류기락샘 귀국 옥영경 2004-05-21 1828
6514 5월 15일 물꼬에 없는 스승의 날 옥영경 2004-05-21 1483
6513 5월 15일 부산 출장 옥영경 2004-05-21 2198
6512 5월 16일, 풍경소리 옥영경 2004-05-21 1684
6511 5월 12일, 물꼬 아이들의 가방 옥영경 2004-05-26 1704
6510 고기 또 먹던 한 날, 5월 16일 옥영경 2004-05-26 2111
6509 5월 17일, 배움방과 일 옥영경 2004-05-26 1683
6508 5월 17일, 물꼬 노래방에선 지금 옥영경 2004-05-26 1573
6507 5월 18일, 5.18과 아이들 옥영경 2004-05-26 16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