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 9.해날. 맑음

조회 수 1478 추천 수 0 2007.12.27 00:20:00

2007.12. 9.해날. 맑음


장순이와 쫄랑이가 하도 짖어
내다봅니다.
영락없이 또 찾아든 사람입니다.
입학에 대해 고민 많은 때일 테니까요.
그런데 오늘은 차 한 잔도 못 냈습니다.
식구들이 다들 너무 고단했거든요.
한창 나무 하고 있는 요즘이거든요.
어차피 서로 약속을 했던 건 아닌지라
미안함 조금 덜했지요.
미리 연락 좀 주고 오시길.

올해는 계자 신청이 더딥니다.
그래도 워낙 계자를 해온 세월이 있고,
왔던 아이들의 비율이 높다고 알려진 계자인 만큼
(교사들의 열정은 또 어떤가요,
어느 누구도 임금을 받으며 움직이는 게 아니니...)
기다리면 자리가 남지야 않겠지만,
신청 속도는 확실히 떨어진 올 겨울입니다.
“조선일보에 실렸다던데...”
하지만 우리 계자야 우리를 아는 이들이 대부분 신청하지
낯선 이들은 드물어 거기에 그리 기댈 건 아니지요.
하기야 옛날에는 ‘조선일보빨’이라는 표현이 있었습니다.
몇 해 전만해도 유효했지요.
조선일보를 그만큼 많이 보고
그런 만큼 반향도 크다는 말이었겠습니다.
그런데 이제 그만큼 많이 보지 않는다 하니
반가운 일입니다.
'안티조선' 운동이 인터넷시대의 후광까지 더해
이제 빛을 보는 모양이지요.
꾸역꾸역 하고 살 일입니다.
그러면 어느 날엔가 그게 길이 되는 법이지요.

달골 손님맞이 대청소가 있었고,
한동안 먹을, 바깥에서 들여올 거리들 장도 보았네요.
낼 한 무리의 손님이 듭니다.
어디서일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085 2007. 5.13.해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471
6084 2006. 9. 7.나무날. 맑음 / 가을학기를 여는 산오름 옥영경 2006-09-18 1471
6083 2007. 9.11.불날. 맑음 / 널 보내놓고 옥영경 2007-09-25 1470
6082 2006.2.27.달날 / 잡지 '민들레'를 읽고 옥영경 2006-02-28 1470
6081 145 계자 닷샛날, 2011. 8. 4. 나무날. 흐린 하늘, 그리고 비 / 우리는 왜 산으로 갔는가 옥영경 2011-08-17 1469
6080 2006.2.14.불날 / 2005학년도에 있었던 일련의 갈등에 대해서 옥영경 2006-02-15 1469
6079 2005.11.9.물날.맑음 / 비판과 지지 옥영경 2005-11-10 1469
6078 7월 13일, 방충망 요새에서 옥영경 2004-07-20 1469
6077 2008.11.28.쇠날. 푹한 / 김장 첫날 옥영경 2008-12-21 1467
6076 2008. 9.27.흙날. 맑음 / 한살림 강연 옥영경 2008-10-10 1467
6075 2007.11.17.흙날. 거친 바람 옥영경 2007-12-01 1467
6074 2005.12.8.나무날.맑음 / 섣달 잔치에 달뜨다 옥영경 2005-12-09 1467
6073 8월 28-9일, 젊은 할아버지와 류옥하다 옥영경 2004-09-14 1467
6072 116 계자 나흗날, 2007. 1.10.물날. 검은 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07-01-15 1466
6071 5월 11일 물날 비갰다 한밤에 다시 쏟아지다 옥영경 2005-05-16 1466
6070 7월 9일, 늘 사연많은 쇠날 옥영경 2004-07-20 1466
6069 손가락 풀기를 기다린 까닭 옥영경 2004-07-11 1466
6068 2008.11. 5.물날. 맑음 옥영경 2008-11-14 1464
6067 계자 96 세쨋날, 8월 4일 물날 옥영경 2004-08-08 1464
6066 2007.11.18.해날. 맑음 옥영경 2007-12-01 14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