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조회 수 1252 추천 수 0 2008.03.05 10:41:00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산골 오니 맑은데도 눈 나풀거리고 있네요.
남도의 골짝에서 하루를 보내고 오는 저녁답입니다.
집안 식구들이랑 모다 강가에 나가 향어회를 먹었더랬습니다.
“야아, 사우(사위)가 오니 대우가 달라지네.”
날이 추워지면 강가에 나가 향어회를 먹습니다.
바다가 멀지는 않다 해도 내륙이라
바다회보다는 민물회들을 먹지요.
어린 사람들이야 그저 초고추장 맛이라지만
민물회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민물회 먹다 바다회 싱거워서 못 먹는다 합디다.
향어회는 색이 붉어 맛도 진하다나요.
“아하, 그래서 횟집에서도 연한 색부터 먹으라는 구나...”
회가 차가운 음식이니 속을 데운다고 무채가 나오는데
회를 먹지 않는 사람에게도 좋은 반찬이 됩니다.
땅콩가루와 산초향이 나는 초고추장에
다른 야채랑 함께 비벼먹으면 맛이 일품이지요.
먹다 남은 회는 매운탕에 샤브샤브로 이어집니다.

딸년은 도둑이라더니...
그예 재봉틀을 실어옵니다.
공동체에 세 대나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는 게 없어 늘 아쉬웠지요.
집에 갈 때만 써 오던 건데,
마침 이젠 예전처럼 집안에서 쓰는 이가 없답니다.
화장지 꾸러미며 건어물이며
이리저리 쟁여져 있는 물건들도 실려 옵니다.
등나무 하나도 파 왔네요.
국화시간에 바람에 흩날리는 등꽃을 그리며
몇 아이들이 더러 궁금타 궁금타 하던 나무였더랬지요.
오래전 실어갔던 두 그루도 있었으나
그 해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버렸는데,
올해는 잘 키워보자 합니다.
나무를 심을 때는 절대 한 그루만 심지 말라던가요.
“세 그루를 심어라!”
한 그루는 그늘을 위해,
한 그루는 열매를 위해,
그리고 나머지 한 그루는 아름다움을 위해 심으라데요.
그렇게 숲이 되는 거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26 6월 15일 물날 오후 비 옥영경 2005-06-19 1249
5025 2007. 9. 3.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7-09-23 1248
5024 2007. 6.12.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6 1248
5023 2007. 3.2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48
5022 2007. 3. 5. 달날. 눈비, 그리고 지독한 바람 옥영경 2007-03-15 1248
5021 2005.11.28.달날.맑음 / 돌아온 식구 옥영경 2005-12-01 1248
5020 7월 25일 달날 더위 가운데 옥영경 2005-07-31 1248
5019 2012. 2.20.달날. 맑음 옥영경 2012-03-04 1247
5018 2011.10.12.물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1-10-21 1247
5017 2011. 6.16.나무날. 맑음 / 보식 4일째 옥영경 2011-07-02 1247
5016 2011. 4.30.흙날. 비 옥영경 2011-05-11 1247
5015 2011. 1.28.쇠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47
5014 2008.10.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19 1247
5013 2008. 6. 27.쇠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47
5012 2008. 6.15.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47
5011 2007. 4. 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47
5010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47
5009 2006.2.25.흙날. 흐리다 빗방울 / 풍물특강 사흘째 옥영경 2006-02-28 1247
5008 2009. 5.18.달날. 맑음 옥영경 2009-06-03 1246
5007 2007. 3.10-11.흙-해날. 눈보라 / 달골에서 묵은 생명평화탁발순례단 옥영경 2007-03-28 12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