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1.흙날. 맑음

조회 수 1276 추천 수 0 2008.05.16 00:44:00

*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써두고 올리는 걸 잊은 걸.
한꺼번에 며칠 씩을 올리고 있어 더욱 그랬네요.
게다 홈페이지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글이 사라지기도 하는 요즘이라
글이 하루 빠진 걸 보고도 으레 같은 문제이겠거니 하고 있었지요.
오늘 관리하는 이의 말이, 글이 아예 올라가 있지 않다는 겁니다.


2008. 3. 1.흙날. 맑음


새 학년도를 앞두고
서류며 행정적인 일들을 정비하고 있습니다.
물꼬가 소유학고 있는 땅에 대한
등기문제도 정리를 좀 하려합니다.
달골은 생태공동체마을의 중심이 될 자리이지요.
지금 거긴 포도밭이 있고 콩밭이 있고
그리고 객사(한 때 기숙사 역할을 하기도 한 게스트 하우스)가 있고
갤러리(물꼬 박물관, 카페테리아 같은 역할을 하는 강당)가 있지요.
장차 콩밭 너머 숲에 명상센터(새벽의 집)를 들이려 합니다.
오랜 꿈을 한 발 한 발 펼쳐나가는 곳이지요.

역시 새 학년을 맞으며
자리이동이 있습니다.
내일부터 가마솥방지기가 들어오고
오랫동안 교무행정일을 보았던 이는 4년 동안 휴직을 합니다.
멀리 가는 건 아니고 마을 안에서
본격적으로 농사수업을 해보기로 하였지요.
한동안 빈자리가 될 것이지만
우선은 오며가며 되는 손이 해나갈 테지요.
그래서 이월이 한창입니다.

교무실 일들을 들여다보며
그것이 갖는 자잘하고 신경 쓰이는 일의 성질이 어려운 게 아니라
역시 매체가 문제가 되지요.
“안 터져.”
컴퓨터 앞에서 뭔가 망설이고 있으면 곁에 있는 이들이 툭 던지는 말처럼
그래요, 뭐 별 일이 일어나는 것도 아닌데,
도대체 뭘 해야 될지 모르겠고
어째얄지 모르겠고
우선 막막한 거지요.
그런데 오늘도 어떤 기능을 찾아 헤매고 있는데,
곁에 있던 아이가 건너다보며 그러데요.
“내가 해줄까?”
그러더니 와서 막 뭘 하는 겁니다.
영상세대라더니
딱히 배우지 않아도 아이들에겐 아주 자연스런 도구가 되고 있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445 2005.11.2.물날.맑음 / 밥상 옥영경 2005-11-04 1273
1444 2005.12.2.쇠날.흐림 옥영경 2005-12-06 1273
1443 2007. 9.22. 흙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07-10-05 1273
1442 2008. 1.2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73
1441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73
1440 2008.12.25.나무날. 눈발 날리다가 옥영경 2008-12-29 1273
1439 2010. 5.20.나무날. 맑음 / 특수학급 미용실 옥영경 2010-06-03 1273
1438 2011. 7.12.불날. 비 뚫고 옥영경 2011-07-18 1273
1437 2011. 9.28.물날. 흐려가는 밤 옥영경 2011-10-12 1273
1436 2012. 4.15.해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73
1435 2012. 4.20.쇠날. 봄비 옥영경 2012-04-26 1273
1434 11월 28일 해날 맑음, 학교 안내하는 날 옥영경 2004-12-03 1274
1433 5월 19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5-22 1274
1432 9월 26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9-27 1274
1431 2007. 5.12.흙날. 회색 하늘 옥영경 2007-05-21 1274
1430 2008. 6.16.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74
1429 135 계자 닷샛날, 2010. 1. 7.나무날. 바람 / 다람길 옥영경 2010-01-12 1274
1428 2010. 5. 5.물날. 밤 비 / 사과잼 옥영경 2010-05-23 1274
1427 2012. 4.17.불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74
1426 2005.10.27.나무날.맑음 / 과학공원 옥영경 2005-11-01 12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