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17.물날. 맑음

조회 수 1156 추천 수 0 2008.10.04 12:50:00

2008. 9.17.물날. 맑음


식구들이 모여 앉아 포도알을 땁니다.
잼을 하든 효소를 담든 포도주를 담든
무엇을 해도 알맹이를 따야 하니까요.
뭘 먼저 하든 쓰일 거니까요.

밭가 호두를 텁니다.
긴 장대는 그 무게만으로도 몸이 휘청하는데
그걸 들고 가지 사이로 넣어 휘저어야 합니다.
나무도 잘 타야 하지만
땅 바닥에 놓는 발의 안정감처럼 두 다리를 잘 버팅기고 서야 하지요.
그런데 여간 조심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호두나무는 죽은 가지와 썩은 가지를 구분키 어렵습니다.
어쩌다 힘을 짱짱하게 준 발의 가지가 툭 분질러지며
그만 한 다리가 미끄러지는 일도 잦지요.
감을 따다가 장대가 닿기 어려운 맨 꼭대기는
두어 개의 알이 잎새 다 떨구고도
대롱거리며 가을 하늘 다 지나도록 달리고는 하지요.
이것을 까치밥이라 했고,
큰 시인 김남주는 그것을 조선의 마음이라 하였더이다.
우리가 남긴 몇 알의 호두알은 다람쥐밥이라 부르겠고,
그게 또한 조선의 마음일 테지요.
깔아놓은 천막이나 정리해놓은 풀섶에 떨어지면 다행이지만
어쩌나 돌더미 사이나 도랑으로 구르면
그게 찾아내기가 또 쉽잖지요.
하기야 호도 먹을 입이 어디 사람에게만 있을까요.
한 가마니만 가득 채워 마당으로 끌고 왔답니다.

지역의 한 대학이 곧 축제 기간입니다.
거기서 서명운동을 할까 합니다.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
축제 관련 부처의 사람 하나를 만났는데,
“우리도 결식아동도 많은데...”
라고 하다가 아차 싶었던지
“좋은 일 하시네요.”
그렇게 말이 끝나데요.
적지 않은, 그러니까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 반응이기도 합니다.
“그들을 위해 그대는 뭘 하셨죠?”
그런 공격적인 반응을 보일 것도 아닙니다.
이 문제만큼은 논쟁의 범주가 아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람이 죽는다는데 밥 말고 무슨 말이 필요하단 말인가요.
학생회에서 일하는 두어 친구도 만납니다.
학술제 공간에 부스 하나를 신청하였지요.
‘먹고 놀고’가 아니라 의미 있는 일도 있다면
축제가 외려 더 풍성하지 않겠는가, 그리 설득했습니다.
뭐라도 해야겠다 싶어 한 일이지요.
내 새끼가, 내 부모가 그리 굶고 있다면
누구라도 움직이지 않겠는지요.
저는 사람들에게 밥을 빌러 갈 것입니다,
뻣뻣한 나를 눕히고 또 눕혀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86 5월 14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5-20 1245
4985 [바르셀로나 통신 1] 2018. 1. 7.해날. 비 갠 뒤 메시는 400번째 경기에 출전하고 옥영경 2018-03-12 1244
4984 2009. 7. 9.나무날. 흐림 / <내 마음의 상록수> 옥영경 2009-07-16 1244
4983 4월 빈들 이튿날 / 2009. 4.25.흙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09-05-10 1244
4982 4월 빈들 여는 날 / 2009. 4.24.쇠날. 흐리다 간간이 빗방울 옥영경 2009-05-09 1244
4981 5월 25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5-27 1244
4980 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옥영경 2005-05-27 1244
4979 9월 24일 쇠날 맑음, 령이의 통장 옥영경 2004-09-28 1244
4978 2012. 4. 9.달날. 흐린 오후 옥영경 2012-04-17 1243
4977 147 계자 여는 날, 2011. 8.14.해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30 1243
4976 2008. 7.20.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8-07-27 1243
4975 2007. 2.12.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16 1243
4974 2006.12.26.불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43
4973 2006. 9.15.쇠날. 흐림 옥영경 2006-09-20 1243
4972 2006.4.10.달날. 비 옥영경 2006-04-11 1243
4971 2012. 2.28.불날. 흐린 하늘 옥영경 2012-03-07 1242
4970 2008. 2.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42
4969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42
4968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42
4967 2007. 4.16.달날. 비 옥영경 2007-04-27 124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