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조회 수 1284 추천 수 0 2008.12.06 16:53:00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장애인생활시설에 다녀왔습니다.
사람들 속에 묻혀 아이랑 공주의 ‘명주원’을 갔지요.
정신지체장애인들이 160여명 생활하고 있는 곳입니다.
‘성아퍼’씨도 여기에 삽니다.
처음 이곳을 와서 손만 되면 아퍼 아퍼했다지요.
그래서 이름이 성아퍼가 되었습니다.
‘성둥보’씨도 있습니다.
성이 없으니 성이 성이 되었고
뚱뚱하여 뚱보 뚱보하다 이름이 둥보가 되었다지요.

그들을 보살피는 식구들 수도 만만찮겠지요.
그곳은 자원봉사자를 안내하는 팀이 따로 있어
박은아샘의 안내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기초생활을 하는 방도 보고
결혼한 가정도 방문했으며
교육재활 사회심리재활 의료재활 과정도 들여다보았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할 수 있는 일도 많았지요.
목욕을 돕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밥하는 일이 젤 손이 많이 필요하겠습니다.
빨래방을 보고는 으악 싶데요.
세탁기가 여러 대 있었지만
봄가을이면 큰 대야에 발로 밟아 빨아야할 이불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 곳에서 교육도 지원하고 있었고
정서지원활동들도 많았으며 의료지원도 말할 것 없었지요.

이곳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기도 합니다.
식구들이 일하고 있는 현장도 들여다보았습니다.
종이가방을 만드는 곳에선
흘러간 노래를 멋들어지게 부르는 아저씨가 우리를 불러 세웠고,
또 누구는 자신이 얼마나 빨리 일을 잘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도 했지요.
제과 제빵사업을 하는 ‘효동ㆍ덕자 베이커리’도 기웃거렸습니다.
마침 중학교를 나와 자격증을 땄다는 농청년이 빵을 굽고 있었습니다.
천연비누를 만드는 곳에선
한 도움샘이 말리던 국화꽃을 뒤집어주고 있었지요.

그곳 베이커리에서 산 따끈따끈한 빵을
돌아오는 길에 금강을 바라보며 먹었습니다.
지체장애인들이 어찌 살아가고 있는가,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찾으러 간 거였지요.
당장 주머니를 털자 싶지만
오고나면 또 슬슬 게을러지는 마음입니다.
그래서 눈에 뵈지 않으면 사랑도 식는다던가요.
아이랑 우리는 무엇을 할까 의논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26 10월 19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277
5225 9월 4-5일, < 포도요, 포도! > 옥영경 2004-09-16 1277
5224 2015. 8.13.나무날. 소나기 지나고 옥영경 2015-09-03 1276
5223 2011년 11월 빈들모임 갈무리글 옥영경 2011-12-05 1276
5222 2011. 5.12.나무날. 빗방울, 황사, 바람 / 밤낚시 옥영경 2011-05-23 1276
5221 2010. 5. 5.물날. 밤 비 / 사과잼 옥영경 2010-05-23 1276
5220 135 계자 닷샛날, 2010. 1. 7.나무날. 바람 / 다람길 옥영경 2010-01-12 1276
5219 2007.10.22.달날. 맑음 옥영경 2007-10-29 1276
5218 2007. 5. 1.불날. 비 옥영경 2007-05-14 1276
5217 2006.12.18.달날. 갬 옥영경 2006-12-25 1276
5216 2006.11.27. -12. 3.달-해날 / 낙엽방학, 그리고 입양 계획 옥영경 2006-12-05 1276
5215 2005.11.2.물날.맑음 / 밥상 옥영경 2005-11-04 1276
5214 8월 30일 달날, 가을학기 시작 옥영경 2004-09-14 1276
5213 2012. 4.17.불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75
5212 2011. 9.28.물날. 흐려가는 밤 옥영경 2011-10-12 1275
5211 2010. 5.20.나무날. 맑음 / 특수학급 미용실 옥영경 2010-06-03 1275
5210 2006.12.25.달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75
5209 2005.12.2.쇠날.흐림 옥영경 2005-12-06 1275
5208 9월 26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9-27 1275
5207 6월 22일 물날 텁텁하게 더운 옥영경 2005-06-24 127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