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3.흙날. 겨울황사

조회 수 1236 추천 수 0 2008.12.26 13:38:00

2008.12.13.흙날. 겨울황사


주마다 하는 일 가운데 참으로 귀한 일 하나가
쓰레기를 분리하는 일입니다.
무엇을 우리가 먹고 사나,
우리가 바깥에 의존하고 있는 건 무엇인가,
그런 것을 잘 살피게 해주지요.
삶을 돌아보게 하는 기제입니다.

춤명상을 하는 주말입니다.
‘소리와 귀’가 이번 달 중심생각입니다.
로렌츠 오키의 말로 시작했지요.
“눈은 우리를 바깥 세계로 데려가고,
귀는 세계를 우리 안으로 가져 온다.”
신비를 뜻하는 mystic 이라는 말은
myein(눈을 감는다)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왔다 합니다.
눈을 감는다는 것이 말하자면 신비로 들어가는 문이 되는 셈인가요.
고대로부터 장님인 예언자가 특히 많은 까닭은
눈이 없는 대신 자신의 내면으로, 소리의 세계로 들어갔기 때문 아닐까 한다데요.
“눈을 감고 귀 기울여 들을 때
바로 우리들 내면에 품은 궁극적 존재의 씨앗이 터지기 때문 아니겠는가.”
그렇게 춤을 추었습니다.
중세기 연가와 김영동의 음악과 그리스 전통 음악에
바흐가 놀다가고 러시아 우랄지방 전통음악이 어우러졌으며
라틴아메리카 미사에 쓰이는 음악도 그곳을 거닐었지요.

식구들 바깥나들이가 있는 저녁이었습니다.
기락샘도 내려왔구요.
황간에 나가 저녁을 먹었답니다.
남쪽나라까지는 못 가더라도
가끔 언 산골을 그리 벗어나면 훈기가 도는 것도 갔다던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98 2005.12.14.물날.흐리다 한 밤에 눈 / 아이들만 돌린 하루 옥영경 2005-12-16 1227
1797 2008. 2.1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227
1796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27
1795 2008. 9. 5. 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27
1794 2011. 7.10.해날. 대해리 비, 그리고 서울 흐림 옥영경 2011-07-18 1227
1793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27
1792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27
1791 2012. 2. 6.달날. 맑으나 뚝 떨어지는 기온 옥영경 2012-02-21 1227
1790 2012. 5. 4.쇠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227
1789 9월 24일-10월 3일, 한가위방학 옥영경 2004-09-28 1228
1788 106 계자 가운데 다녀간 손님들 옥영경 2005-09-07 1228
1787 9월 3일 흙날 빗방울 오가고 옥영경 2005-09-14 1228
1786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228
1785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28
1784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28
1783 2009.11.19.나무날. 맑음 / 단식 첫날 옥영경 2009-11-27 1228
1782 2009.12.15.불날. 흐리다 맑음 옥영경 2009-12-28 1228
1781 142 계자 나흗날, 2011. 1. 5.물날.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11-01-09 1228
1780 143 계자 닷샛날, 2011. 1.13.나무날. 맑음 / 노박산 옥영경 2011-01-18 1228
1779 2011. 1.26.물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2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