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준 책을 읽고 있다는 문자 한 줄.

읽다가 건네준 책을 맛있게 읽고 있다는.

그 말은 네 생각한다는 말의 변주일 것.

사람사이 마음 오가는 일이 별거이겠는지요.

그런 겁니다.


아침, 달골에 할미꽃 하나 옮겨 심습니다.

이렇게 나날을 또 삽니다.

달래 무슨 수가 있겠는지.

열흘이 다 되도록 세월호에서는 아무도 아무도 살아오지 못했고

아직 주검도 다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늘 세월호 수색작업은 마지막 분수령이 될 거라지요.


본관 꽃밭에 나무 사이 묻혀있던 솟대를

운동장의 소도 안으로 옮겼습니다.

구덩이를 파고, 거기 대나무 통을 하나 꽂고

그 사이로 지줏대를 넣고 묻었지요.

비로소 하늘과 땅을 잇는 ‘소도’가 된.

큰 해우소 앞 태양등도 다시 자리 잡아주고.

밖에 나가니 밖에서 보이는 일에 매달리다 들어오는 교무실.

오전이 또 성큼입니다.

밥상을 차리러 나갈 시간.

5월 일정들도 그렇게 빡빡하게 잡혀있습니다.

바깥 수업들까지.

이렇게 살다가는구나,

허망하게 사라질 목숨을 잡고 우리 이리 살다 가는구나 싶은.


오후에는 하늘 흐려지더니

그리 무거워보이지도 않았는데 빗방울 몇 떨어졌습니다.

저녁엔 지역모임 하나를 나가며

돌단풍을 좀 나누었습니다.


오늘도 애쓰셨습니다.

참혹한 시절을 건너가도 여전히 삶은 계속되고...

허망한 사람살이이나 정성스럽게 살아야겠단 생각.

안녕히 주무십시오. 사랑하는 그대들이 그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966 2016. 9.13~14.불~물날. 흐리다 맑음 옥영경 2016-10-04 706
1965 2016. 7. 5.불날. 비 좀 멎고 해, 아주 잠깐 나 있노라 얼굴 내민 옥영경 2016-07-21 706
1964 2016. 6.22.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706
1963 2016. 3.14.달날. 맑음 옥영경 2016-03-31 706
1962 2015. 3.16.달날. 20도 옥영경 2015-04-19 706
1961 2015. 1. 2.쇠날. 맑음 옥영경 2015-01-06 706
1960 2014.10.22.~23.물~나무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4-10-31 706
1959 2014.10. 8.물날. 구름 사이 보름달, 그리고 개기월식 옥영경 2014-10-28 706
1958 2014. 8. 6.물날. 비 옥영경 2014-08-10 706
1957 2014. 7. 4.쇠날. 갬 옥영경 2014-07-16 706
» 2014. 4.24.나무날. 흐려간 오후, 그리고 몇 방울의 비 옥영경 2014-05-23 705
1955 2014. 4.18.쇠날. 아침 비, 그리고 갬 옥영경 2014-05-21 706
1954 2014. 1.2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706
1953 169계자 나흗날, 2022. 1.12.물날. 맑음 / 꽈리를 불고 연극을 하고 [1] 옥영경 2022-01-15 705
1952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705
1951 2016. 6. 8.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06 705
1950 2016. 4. 1.쇠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5
1949 2016. 3.3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5
1948 2015.11.25.물날. 밤 진눈깨비 옥영경 2015-12-14 705
1947 2015.10.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6 70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