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3.24.나무날. 맑음

조회 수 691 추천 수 0 2016.04.08 02:15:57


분주한 하루였다.

이번 학기 진행하기로 한 일을 의논하기 위해

충남대에 들어간 걸음에 이주욱 교수님과 원규샘과 점심을 먹다.

물꼬를 다녀간 젊은 벗들도 봤다.

원규샘은 초정약수를 실어주었다.

불편했던 안경도 덕분에 이제야 바꾸었네.

고3 담임선생님과 아이를 어떻게 지원할까 의논도 하다.

아픈 어르신 한 분도 아이와 함께 문안드리다.

사람 산다는 것이 이런 일 아니겠는가.


손 편지 하나 닿았다.

나이 드니 몸도 봄이 멀다,

그래도 산천에 깃든 봄꽃들, 그 봄을 언제 같이 한 번 보러 나서자는.

편지...

오랫동안 생각하고 편지를 쓰고

쓰면서 지우고 찢고 다시 쓰고 고쳐 쓰고

다 쓰고 보낸 뒤에도 편지의 구절들을 되씹고

편지가 가는 데 며칠이 걸리고

혹은 먼 곳은 배편으로 석 달이 걸리기도,

그리고 답장을 기다린다.

편지를 받고 읽고 또 읽고 생각을 하고 또 하고 그리고 쓰고 또 쓸 것을 생각하며

답장이 오는 시간도 그만큼의 시간일 것을 짐작했던 시절,

긴 시간 안에 살았던 때.

애틋함도 더 했던 그런.

이젠 편지를 손편지라고 구분해야 하는.

우표가 300원이더라.

묵은 마음이 좀 있었더니

편지 한 통이 그 마음을 다 헹구어주데.


오늘은 벗에게 편지를 쓰리라, 또박또박.

한 자 한 자 꾸욱꾹 눌러,

쓰고 지우고 쓰고 지우고 봉투에 넣기 전까지 읽고 또 읽으며.

그렇게 삶에 ‘시간’을 들이리라.

그건 달려가느라 미처 내 곁에 이르지 못하고 저만치 뒤처져있는 영혼을 챙기는 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84 2월 빈들 여는 날, 2015. 2.27.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20 695
1783 2014.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14-10-22 695
1782 2014. 3.16.해날. 맑음 옥영경 2014-04-05 695
1781 2013. 9.18.물날. 맑음 옥영경 2013-09-25 695
1780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94
1779 2016. 3.18.쇠날. 비 옥영경 2016-04-06 694
1778 2015.10.31.흙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94
1777 2015. 6. 3.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94
1776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94
1775 2015. 4.18.흙날. 흐려가는 하늘, 거센 밤비 옥영경 2015-05-13 694
1774 2014.12.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1-04 694
1773 2014. 9. 5.쇠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4-10-06 694
1772 2014. 4.30.물날. 맑음 옥영경 2014-05-28 694
1771 2014. 1.25.흙날. 비 옥영경 2014-02-18 694
1770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93
1769 2016. 7.15.쇠날. 빗방울 다섯 옥영경 2016-08-06 693
1768 2016. 6.14.불날. 흐림 옥영경 2016-07-09 693
1767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93
1766 2015. 6. 9.불날. 흐린 듯하다 금세 또 볕 뜨거운 옥영경 2015-07-14 693
1765 2015. 2.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3-13 69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