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23.나무날. 맑음

조회 수 618 추천 수 0 2019.07.24 01:19:41


08시 자녀교육에세이 2차 교정원고를 송고하고,

계곡에서 올 첫 딸기를 땄다.

해마다 못다 먹고 지나는 딸기라.

어느 틈에 또 저리 익었나.

자고 일어나면 다른 세상이 있는 산야라.

그 재미로 또 사는 이 산골 삶이라.


건진샘 와서 공사했던 햇발동 보일러가 제대로 작동하는가 확인하다.

보일러실과 창고동 온수 연결고리에 생긴 문제의 원인도 찾고,

공구를 꺼내려고 열었던 컨테이너 문이 뻑뻑하니

그것도 손 닿은 김에 고쳐놓다.

사이집 현관 머리 중앙이 내려앉아 문이 뻑뻑했던 걸

일단 나무로 버팀목을 만들어주어 매끄럽게 하였네.

햇발동 창고동 사이집 우수통 바닥 구멍 다 뚫어주고.

고맙더라.

잠깐 둘러보고 학교로 내려간다 했던 걸, 정오가 다 돼서 끝난 일이었다.

여기 일이 그렇다.


오후에는 학교 큰해우소 전기를 고치다,

내가 아니고 건진샘이.

전기선이 큰해우소 지붕으로 노출된 일은 오래다.

그 말은 볕에 그대로 방치되었다는 것.

전기 들어오니 그러려니 하고 써왔다.

어째 그랬을까, 처음 한 사람이 제대로 했다면,

아니면 남은 이들에게 설명을 잘 했더라면.

어쩌면 우리가 이리 오래 이 학교를 쓸 줄 몰랐기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벌써 20년 넘어 되게 쓰고 있다.

세월이 그렇다, 사람 일이 그렇다.

내일 일을 모르고 사는 삶이라.

전기선만 그러랴.

전쟁통에 집 떠나 잠시 뒤 돌아갈 줄 알았으나 70년이 흐른 세월도 있잖더냐.

20년이 넘은 세월, 물꼬가 그리 오래 폐교된 학교를 빌려 쓸 줄 몰랐지.

학교를 새로 들어앉힐 줄 알았지.

그런데 아직 이 낡고 낡은 학교를 쓰고 있다.

그리고 얼마쯤을 더 쓰게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766 2008.12. 4.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8-12-26 1185
1765 2008.12. 3.물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35
1764 2008.12. 2.불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95
1763 2008.11.30.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38
1762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313
1761 2008.11.29.흙날. 눈 펑펑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8-12-21 1306
1760 2008.11.28.쇠날. 푹한 / 김장 첫날 옥영경 2008-12-21 1477
1759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98
1758 2008.11.26.물날. 갬 옥영경 2008-12-10 1428
1757 2008.11.25.불날. 흐림 옥영경 2008-12-09 1401
1756 2008.11.24.달날. 비 옥영경 2008-12-08 1312
1755 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08-12-06 1397
1754 2008.11.21.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06 1210
1753 2008.11.22.흙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08-12-06 1448
1752 2008.11.19.물날. 맑으나 매워지는 날씨 옥영경 2008-12-06 1368
1751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옥영경 2008-12-06 1289
1750 2008.11.18.불날. 낮 잠깐 흩날리던 눈, 초저녁 펑펑 옥영경 2008-12-06 1191
1749 2008.11.17.달날. 흐림 옥영경 2008-12-06 1129
1748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496
1747 2008.11.1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1-24 117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