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시 창고동 청소를 한다.

좋아하는 이들을 맞는 아침 시간은 얼마나 복된가.

그들을 위해 뭔가 내 손발을 움직일 수 있음은 또 얼마나 행인가.

06시 해건지기.

창고동에서 시작한 수행은 아침뜨樂으로 이어진다.

‘아침뜨락을 한바퀴하면서

내가 잘 모르는(?) 그래서 잘 안보이는 애쓴 흔적들을 들으며 그리고 또 보며

내 삶에도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잘 가꾸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휘령샘의 갈무리 글 가운데서)

아, 어제 모신 저 느티나무를 보라!

‘미궁에 느티나무(아주 잘생긴)가 아침뜨락의 화룡점정이 되었다!’(같은 글 가운데서)


달골에서 간단한 아침을 먹기로 한 닫는 날이라.

햇발동 거실에서 아침을 먹고,

아침뜨樂에 들어 일 수행으로 달못 아래 풀을 뽑다.

쑥은 왜 나무가 되지 못했나,

그래도 쑥 덕분에 아침뜨樂을 더 가꿀 수 있겠구나들 했다지.

쑥에게서 연대도 배우고 삶의 자세도 배웠다나.

일하는 삶이 참 귀하다는 생각들도 하였더란다.

아침뜨樂 옴자에 박던 대나무 울타리를 이어 망치질 했다.


낮밥으로 골뱅이 소면을 냈네.

간밤에 야참으로 먹지 못해 아쉬워들 했던 그것.

떠나는 이 하나에게 사과잼을 싸서 보내다.

여럿이면 어려울 것을 단촐하니 또 이런 것도 하네.

사람들이 나가고,

기락샘과 남은 대나무 울을 다시 박아 나가다.

반찬을 9번 통까지 채워 기락샘 편에 대전의 물꼬 안식구들에게도 보내다.


밤, 이웃마을 벗이 건너와 이즈음의 삶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갔네.

비가 시작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 5월 빈들 닫는 날, 2019. 5.26.해날. 흐려가는 하늘, 밤 비 옥영경 2019-07-24 726
4905 5월 빈들 이튿날, 2019. 5.25.흙날. 다소 흐림 / 느티나무와 홍단풍 모시다 옥영경 2019-07-24 675
4904 5월 빈들 여는 날, 2019. 5.24.쇠날. 맑음, 31도였다나 / 열두 마리 버들치! 옥영경 2019-07-24 666
4903 2019. 5.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621
4902 2019. 5.22.물날. 맑음 / 삽질 tip 옥영경 2019-07-24 635
4901 2019. 5.21.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728
4900 2019. 5.20.달날. 비 내리다 개고 흐림, 아침 거센 바람, 저녁 거친 바람 / 조현수님은 누구신가요? 옥영경 2019-07-20 649
4899 5월 물꼬stay 닫는 날, 2019. 5.19.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19-07-19 633
4898 5월 물꼬stay 이튿날, 2019. 5.18.흙날. 비 옥영경 2019-07-19 657
4897 5월 물꼬stay 여는 날, 2019. 5.17.쇠날. 흐려가는 하늘 옥영경 2019-07-19 689
4896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708
4895 2019. 5.15.물날. 맑음 / 생의 최대 수혜는... 옥영경 2019-07-19 674
4894 2019. 5.14.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19 787
4893 2019. 5.13.달날. 맑음 옥영경 2019-07-19 717
4892 2019. 5.12.해날. 맑음 / ‘정말로 중요한 것을 가르칠 시간’ 옥영경 2019-07-09 920
4891 2019. 5.11.흙날. 맑음,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옥영경 2019-07-09 798
4890 2019. 5.10.쇠날. 맑음 / 10년을 정리하네 옥영경 2019-07-09 725
4889 2019. 5. 9.나무날. 맑음 / 당신도 결국 나를 살리는 이였으니 옥영경 2019-07-09 774
4888 2019. 5. 8.물날. 맑음 / 당신이 잘되기를 바라 옥영경 2019-07-09 723
4887 2019. 5. 7.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09 74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