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에선 어떤 일을 하러 가는 길이 멀다,

여기도 저기도 발걸음마다 채이는 일들이 있어서.

오늘만 해도 그랬다.

“안 되겠네, 낼 아침에 합시다.”


그때 이웃 도시의 논두렁 한 샘이 건너오셨다.

옳다구나, 우리는 양쪽을 번갈아가며

괭이를 들고 구멍을 내고 나무를 심었다.

아침뜨樂 아가미길에 나머지 절반의 광나무를 그렇게 마저 심어나갔다,

오늘이 지나면 안 되겠다 하면서도 결국 낼 아침에 하겠네 한 일.

한 사람은 곡괭이로 구덩이를 파고,

다른 한 사람은 나무를 잡고,

나머지 한 사람은 흙을 넣고.


아직 싱싱함을 유지한 나무들이 주는 감동이 있다.

목숨 가진 것들 질기게 가진 그 생명의 힘.

나도 싱싱하게 네게 가고 싶다.

내 삶을 푸르게 가꾸어 그대에게 보내고 싶다.

미궁 아래로 이어진 언덕에 박힌 커다란 바윗돌 세 개도 굴려

아가미길 끝에 마감자리로 놓는다.

아침뜨樂 바깥과 경계도 되면서 앉음석도 될.

구덩이를 파며 나온 돌이 또 많아서

네모 돌무데기의자 곁에 또 하나를 쌓으려 준비한다.

오늘도 어둠이 밀어내서야 아침뜨樂을 나왔지만,


밥상을 차리러 먼저 내려왔다.

번번이 늦은 저녁을 좀 당겨볼까 하고.

그래도 밤 10시에 밥상이 물려졌더라.


낮에 학교에는 이웃 마을 기사 건진샘이 와서

본관 뒤란 보일러를 또 손보았네.

이제 당신 일은 다 했다는데,

헤집어놓은 것들은 우리 손으로 해결해야겠지.

그 일은 또 언제 하나...

뭐, 다음 일은 다음 걸음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46 2013. 5. 2.나무날. 먹구름 가끔 지나고 옥영경 2013-05-08 1241
4945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41
4944 2011.11.23.물날. 비와 해와 구름과 거친 바람과 옥영경 2011-12-05 1241
4943 2011.11.20.해날. 맑은 흐림 옥영경 2011-12-03 1241
4942 2007. 8.31.쇠날. 비 옥영경 2007-09-21 1241
4941 119 계자 나흗날, 2007. 8. 3.물날. 맑음 옥영경 2007-08-07 1241
4940 2007. 6.19.불날. 무더위 옥영경 2007-06-28 1241
4939 2007. 3.1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241
4938 2005.12.1.나무날.흐림 / 포항행 옥영경 2005-12-06 1241
4937 8월 28일 해날, 달골 아이들 집 첫 삽 옥영경 2005-09-12 1241
4936 8월 22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9-11 1241
4935 11월 27일 흙날 맑음, 밥알 반짝모임 옥영경 2004-12-03 1241
4934 159 계자 사흗날, 2015. 1. 6.불날. 소한, 흐리다 갬 옥영경 2015-01-12 1240
4933 5월 빈들모임(5/25~27) 갈무리글 옥영경 2012-06-02 1240
4932 2012. 3.19.달날. 덥기까지 한 봄날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40
4931 2월 빈들 여는 날, 2012. 2.24.쇠날. 흐림 옥영경 2012-03-04 1240
4930 2012. 2.17.쇠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40
4929 2012. 2.15.물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40
4928 2011. 7. 8.쇠날. 흐리고 아침 옥영경 2011-07-18 1240
4927 2011. 6. 3.쇠날. 맑음 옥영경 2011-06-14 124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