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밭에 풀을 뽑는다.

어째도 자라나는 것들은 자란다.

때로 키우려는 것보다, 애쓴 것보다 죽정이가 더 많기도 한다.

그래도 또 키워내는 손길들이라.

사는 일이 거듭 감동일세.


향낭을 만들었다.

비가 많은 이 가을, 어느새 여기저기 퀴퀴하다.

바람을 들이는 게 첫째겠지만 향을 더하는 것도 좋은 방법.

부직포에다 구한 것들을 한 숟가락씩 채운다.

나무의 수액이 굳은 유향나무 수지부터.

소나무 송진 같은 거다.

방부작용이 뛰어나 향수 재료로 많이 쓰인다지.

이러니 명상할 때들 쓸 게다.

동박박사가 아기예수를 맞으러 갈 때

가지고 간 세 가지 선물 가운데 하나가 이것이었더라지.

붉은 자단향도 더한다.

심재가 붉어 자단향.

울릉도에서 나는 향나무다. 울향이라고 하는.

할아버지가 제사상을 마련하며 연필 깎듯 깎아 쓰셨던 물건.

한방소화제에 쓰이는 푸른 목향도 보탠다.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방아풀인 하얀색 곽향도 더하고,

검은 향부자도 넣고,

백단도 합한다.

안정감과 평온감을 주어 스트레스와 불면과 불안감에 효과가 있다는.

아, 계피가루도 한 숟가락.


이 재료들도 오방의 뜻이 있더라.

중앙의 노랑 유향, 좌청룡 목향에 우백호 곽향,

북현무 향부자에 남주작 자단향.

향재료도 그런 뜻을 담은 선인들이었네.

일곱 재료들을 잘 섞어 넣은 부직포 주머니를

다시 버선모양을 한 주머니에 담아 걸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926 2017.10.20.쇠날. 쾌청 / 골조 자재 들어오다 옥영경 2017-12-11 857
1925 2017.10.21~22.흙~해날. 맑음 / 첫 삽 옥영경 2018-01-05 762
1924 11학년 ‘물꼬stay’ 여는 날 / 2017.10.23.달날. 맑음 옥영경 2018-01-05 777
1923 11학년 물꼬stay 이튿날 / 2017.10.24.불날. 맑음 옥영경 2018-01-05 789
1922 11학년 ‘물꼬 스테이’ 닫는 날 / 2017.10.25.물날. 맑음 옥영경 2018-01-05 764
1921 11학년 ‘물꼬stay’(2017.10.23~25) 갈무리글 옥영경 2018-01-05 800
1920 2017.10.26.나무날. 맑음 / 제도학교의 물꼬나들이 옥영경 2018-01-05 707
1919 2017.10.27~29.쇠~해날. 맑은 이틀, 그리고 흐리다 비 한 방울 해날 옥영경 2018-01-05 773
1918 2017.10.30.달날. 춥고 흐린 / 첫얼음! 옥영경 2018-01-05 771
1917 2017.10.31.불날. 맑음 옥영경 2018-01-05 764
1916 2017.11. 1.물날. 맑음 / 태산 같은 말들을 버리고 옥영경 2018-01-06 757
1915 2017.11. 2.나무날. 맑다고는 못할 옥영경 2018-01-06 726
1914 2017.11. 3.쇠날. 하오 비 조금 뿌리다. 옥영경 2018-01-06 785
1913 2017.11. 4.흙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745
1912 2017.11. 5.해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765
1911 2017.11. 6.달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708
1910 2017.11. 7.불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880
1909 2017.11. 8.물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785
1908 2017.11. 9~13.나무날~달날. 맑다 흙날 잠깐 흐리고 비 조금, 다시 맑아진 달날 옥영경 2018-01-06 812
1907 2017.11.14~15.불~물날. 맑음. 다시 퍽 매워진 기온 옥영경 2018-01-06 79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