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 8.해날. 맑음

조회 수 491 추천 수 0 2020.01.13 03:20:02


 

겨울 계자 신청을 받고 있는 중.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을 다시 읽는다.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

 

- (<광휘의 속삭임>/문학과지성사, 2008) 가운데서

 

가마솥방에서는 고추장 게장을 만들고,

학교에서는 본관 복도 뒤란 낙엽을 정리하고,

달골에서는 타일절단기를 대여해오다.

한 번 쓰자고 사기는 또 부담이라.

큰 철물점에 알아보니 그런 방법이 있더라고.

타일가게에도 그런 게 있지 않을지.

오후 두어 시간은 타일을 잘랐다.

그 작업만 다 해도 일을 다한 것인 양.

언제나 시작이 반이라.

 

, 이 밤에 알아버렸네.

나는 어째 앞만 있고 뒤가 없었는가.

어이하여 뒤는 돌아보지 못했는가.

싱크대에서 돌아서면 조리대 상판과 또한 만나는 걸.

거기도 음식 튀고 하니 깔아야지 않나.

마침 딱 그만치의 같은 타일이 있었더라.

여전히 많이 남는군 했더니만.

 

나이 먹는다는 건 몸에 지닌 것을 잊는 일인가.

안경을 쓰고도 안경을 찾고

펜을 들고도 펜을 찾고...

나이 먹는다는 건 내 가진 것을 잃는 일이기고.

많든 적든 마지막엔 결국 다 잃어버리는 일이 죽음이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506 2021. 1. 5.불날. 흐림 옥영경 2021-01-19 386
5505 2021. 1. 4.달날. 해 옥영경 2021-01-19 439
5504 2021. 1. 3.해날. 맑음 옥영경 2021-01-19 401
5503 2021. 1. 2.흙날. 눈 사이 사이 해 옥영경 2021-01-19 375
5502 2021. 1. 1.쇠날. 눈발 사이 잠깐 해 / 연대의 길을 찾는다 옥영경 2021-01-18 416
5501 2020.12.31.나무날. 해 짱짱한 낮, 늦은 오후의 눈발, 그리고 훤한 달 옥영경 2021-01-18 390
5500 2020.12.30.물날. 갬 / 코로나보다 더 무서운 것! 옥영경 2021-01-17 423
5499 2020.12.29.불날. 눈 날리는 저녁 옥영경 2021-01-17 379
5498 2020.12.28.달날. 살짝 흐린 속 가끔 해 옥영경 2021-01-17 365
5497 2020학년도 겨울 청계(12.26~27) 갈무리글 옥영경 2021-01-15 414
5496 겨울 청계 닫는 날, 2020.12.27.해날. 흐리다 살짜쿵 비 지난 옥영경 2021-01-15 387
5495 겨울 청계 여는 날, 2020.12.26.흙날. 흐리다 해 옥영경 2021-01-15 378
5494 2020.12.25.쇠날. 해 옥영경 2021-01-15 370
5493 2020.12.24.나무날. 해 옥영경 2021-01-15 375
5492 2020.12.23.물날. 구름 사이 가끔 해 옥영경 2021-01-15 360
5491 2020.12.22.불날. 잠깐 해 옥영경 2021-01-15 370
5490 2020.12.21.달날. 먼 산에서 묻어오는 눈 옥영경 2021-01-15 386
5489 2020.12.20.해날. 맑고 쌀쌀 옥영경 2021-01-14 383
5488 2020.12.1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66
5487 2020.12.18.쇠날. 흐림 옥영경 2021-01-14 41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