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는 풀을 맸다.

오후에도 풀을 맸다.

풀을 맸다고 날마다 쓰고도 남겠는 삶이다.

아침뜨락은 그렇게 손으로 손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물꼬살이가 대개 그렇다.

옴자 맨 아래 대나무 울타리도 몇 자르고 세웠다.

일삼아 한 번에 하면야 한 이틀이면 다 할 수 있잖을까 하지만

그야말로 오가는 일 속에 어쩌다 한 번 붙어 얼마쯤을 세운다.

 

대처 식구들이 들어오면 힘을 써야 할 일에 붙는 게 첫째지만

랩탑이며 교무실 컴퓨터며 생긴 문제가 있지 않아도

점검해주는 일도 이네 몫.

대처 식구들의 냉장고를 채울 것들을 해서 보내고

다시 나머지 사람들은 달골에 들다.

아침뜨락 옴자 풀을 맨 곳에 샤스타 데이지를 뿌렸다.

그것도 하니 는다.

씨앗이 날리지 않게 흙을 섞고

몰리지 않고 천천히 고루 뿌리기.

손이 익은 이들은 상추씨며 시금치씨앗을 뿌릴 때도

훠 훠 두어 번에 다 뿌리면 되던데...

 

해지는 데 아직 풀을 매고 있는 아침뜨락으로 하얀샘이 와서

편편하고 너른 곳을 기계로 밀었다.

어둠이 좇아낼 때까지 모두 풀을 넘어뜨리고 있었다.

늦은 저녁밥상을 물리고 과일 한 쪽들 집어먹고 나니

열시를 가리키는 시계. 마감!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내일 또 제도학교로 넘어가 고단이 클 테다.

주중에 제도학교에서, 주말은 물꼬에서

따로 쉬어가는 날 없이 한주를 꽉 채워 흐르는 이번 학기,

특히 물꼬에 들어오는 주말은

한 번에 들일을 하느라 번번이 달빛 별빛을 받으며 마을로 내려서는데

그렇지만 어렵지 않게 지낼 만한 것은 이곳에 있을 때 이곳에 집중해 있기 때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046 8학년 A반 예술명상(9.23) 갈무리글 옥영경 2020-11-11 381
6045 2020.10.11.해날. 흐릿 / 흙집 양변기 작업 시작 옥영경 2020-11-22 381
6044 2021. 3. 1.달날. 비 종일 옥영경 2021-03-26 381
6043 2021. 4.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1-05-05 381
6042 2021. 9. 1.물날. 비 / 공동의 경험 옥영경 2021-10-21 381
6041 2021.10.14.나무날. 맑음 / 더하기공사 첫날 옥영경 2021-12-08 381
6040 2021.11.29.달날. 맑음 / 김장 첫날 옥영경 2021-12-30 381
6039 2022. 9. 9(쇠날)~12(달날). 대개 흐렸으나 한가위 보름달 보다 / 한가위 연휴 옥영경 2022-09-30 381
6038 2022.10. 7.쇠날. 바람 좋은 맑은 날 옥영경 2022-10-31 381
6037 10월 빈들모임(10.21~22) 갈무리글 옥영경 2022-11-12 381
6036 2023. 4. 6.나무날. 비 옥영경 2023-05-04 381
6035 2020. 5. 1.쇠날. 맑음 옥영경 2020-08-06 382
6034 2020. 5. 8.쇠날. 맑음 옥영경 2020-08-07 382
6033 2020.11.22.해날. 흐림 / 아직도 겨울계자 공지를 올리지 못하고 옥영경 2020-12-23 382
6032 2021. 9.26.해날. 갬 옥영경 2021-11-24 382
6031 2021. 9.29.물날. 흐리다 비 / 덧붙이 공사 보름째 옥영경 2021-11-24 382
6030 2021.12.24.쇠날. 흐림 옥영경 2022-01-08 382
6029 2020. 7.30.나무날. 억수비 작달비채찍비 장대비 창대비, 그리고 갠 오후 옥영경 2020-08-13 383
6028 2020. 8.24.달날. 맑음 옥영경 2020-09-17 383
6027 2020.10.28.물날. 안개의 아침, 흐려가는 오후 / 위탁교육의 핵심이라면 옥영경 2020-11-30 3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