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2.불날. 갬

조회 수 393 추천 수 0 2021.03.26 00:42:06


 

어제 종일 내리던 비는 새벽에 눈이 되었다.

일어나니 땅을 살짝 덮은 눈.

산 위에는 상고대가 눈 시렸다.

 

오후에는 본관 앞 꽃밭 앞을 긁다.

꽃밭을 구분 짓고 있는 울타리돌이 때깔 났다.

3월에는 꽃밭의 돌이며 흙이며 죄 긁어내려한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런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은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김훈의 <바다의 기별>에서 옮겼던 글을 생각했다.

이제 더는 슬퍼하지 않음이 슬프다거나 하는 글 자체의 의미보다

우선은 봄이기 때문이었고,

물론 문장의 아름다움 때문이었겠고,

다음은 마른 잎들 때문이었다.

먼 슬픔이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한다는 대목이

마치 지난여름 뜨거운 시간의 푸름들이 이 봄의 순들로 자리를 대체하는

그 순환이 아리게 다가왔던 듯도 하다.

떠나는 시간은 떠나게, 오는 시간은 그저 오게 하라,

말려도 떠나고 막아도 올 것이니.

 

3월은 달마다 셋째 주에 하는 물꼬주말수행(물꼬stay)도 마지막 주의 빈들모임도 없이 지나기로.

낮에는 노동하고 밤에는 글쓰기로.

마침 바깥수업도 없는 때라.

방문과 상담도, 위탁교육도 모두 4월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024 2022. 7. 2.흙날. 맑음 / 모른 체 해주는 아이들 옥영경 2022-07-28 399
6023 2022. 7. 1.쇠날. 맑음 옥영경 2022-07-28 369
6022 2022. 6.30.나무날. 비 온다더니 /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옥영경 2022-07-27 364
6021 2022. 6.29.물날. 흐림 옥영경 2022-07-26 403
6020 2022. 6.28.불날. 습을 머금고만 있는 하늘 옥영경 2022-07-26 353
6019 2022. 6.27.달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22-07-26 359
6018 2022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6.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22-07-13 769
6017 ‘2022 연어의 날’ 닫는 날, 2022.6.26.해날. 오려다 되돌아간 비 옥영경 2022-07-13 575
6016 ‘2022 연어의 날’ 여는 날, 2022.6.25.흙날. 오려다 만 비 옥영경 2022-07-13 631
6015 2022. 6.24.쇠날. 오려다 만 비 옥영경 2022-07-13 379
6014 2022. 6.23.나무날. 비 옥영경 2022-07-12 356
6013 2022. 6.22.물날. 덥고, 그래도 바람 옥영경 2022-07-12 359
6012 2022. 6.21.불날. 가끔 먹구름 드리우는 옥영경 2022-07-11 363
6011 2022. 6.20. 달날. 먹구름 한 덩이 옥영경 2022-07-09 524
6010 2022. 6.19.해날. 맑음 옥영경 2022-07-09 367
6009 2022. 6.18.흙날. 맑음 옥영경 2022-07-09 355
6008 2022. 6.17.쇠날. 오후 먹구름 옥영경 2022-07-09 360
6007 2022. 6 16.나무날. 갬 / 청소에서 사랑까지 옥영경 2022-07-09 459
6006 2022. 6.15.물날. 비 옥영경 2022-07-09 378
6005 2022. 6.14.불날. 비, 비 옥영경 2022-07-08 3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