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영양에서도 모심기가 시작되었다.
이곳 저곳에서 써레질에 바쁜 경운기와 트랙터가 눈에 들어온다.
이앙기도 산파, 조파, 3조, 4조, 승용이앙기,,,,
갖가지의 이앙기들이 자기의 방식대로 모를 심고 있다.

모심기가 시작되려면
모심기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건강한 모가 준비되는 것이 필수이다.
시작이 반이라고 건강한 육묘가 이루어져
있다면 모심기의 절반은 성공한 샘이다.

다음으로 모심을 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논둑이 튼튼하게 만들어져서 충분히 논물을 가둘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써레질이 이루어지고 모심을 준비가 끝나는 것이다.

논둑의 역할은 논을 댐으로 만들어 주므로해서
논물을 가두어 주는 것이다.
새는 곳이 생긴다면 논둑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삽을 이용하여,
사람의 인력으로 논둑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부에서는 경운기나 관리기,
트랙터에 논둑성형기를 부착하여 기계로 논둑을 하기도 한다.
논둑을 하지 않는 논들도 더러있다.
평야지의 경우는 옆에 붙은 논과의 높낮이의 차이가 없는 관계로
논둑의 역할은 단지 경계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경지정리를 할때 논둑을 콘크리트로 해서 영구히 하기도 한다.

논둑을 새로 형성해 주는 이유는
겨울이 지나면서 대부분의 논둑이 원래의 모습을 많이 상실한다.
허물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틈이 벌어져있다.
그기에다 들쥐, 두더지, 뱀, 논둑가재, 지렁이,,,,,
이놈들이 자기의 길과 영역을 만들다 보니까 엉망이 되는 것이다.
논둑에 자라는 풀들도 새로 논둑을 해줌으로해서
논으로 침범하는 잡초의 영역을 줄여준다.

논둑의 높이를 많이 올려주는것 보다는
좀 넓게 해주는 것이 유리하다.
사람이 다니기도 편해야 한다.

삽으로 작년의 둑을 3분의 1정도를 깍는다.
새흙을 이겨서 높이도 적당하고 넓이도 적당하게 해서
새로 형성해 주면 된다.
발로 지근지근 밟으면서 하면 더 튼튼해진다.

장마철이나 폭우시에
논둑이 터진다고 상상해보라.
어찌 논둑을 튼튼히 하지 않으리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9687
4324 큰뫼의 농사 이야기 10 (씨앗의 아래와 위) 나령 빠 2004-04-08 1074
4323 상범샘 돌단풍만 필요하신지요? 나령 빠 2004-04-09 1147
4322 보고싶은 옥영경 선생님~~ [1] 원연신 2004-04-09 911
4321 큰뫼의 농사 이야기 11 (들깨씨를 뿌립시다.) 나령 빠 2004-04-09 3979
4320 안녕하세요 진구 2004-04-09 915
4319 교과서는 어떻게 하나요? [1] 나현 2004-04-10 937
4318 잘도착하였습니다. [1] 정근이아빠 2004-04-11 931
4317 시체놀이를........... [2] 도형아빠 2004-04-11 937
4316 잘 도착핸니더. 나령빠 2004-04-11 943
4315 잘 도착했습니다. 채은규경네 2004-04-11 906
4314 웬일이니? 혜린규민빠 2004-04-11 907
4313 잘 왔습니다. 한대석 2004-04-12 906
4312 잘 도착했습니다. 혜연성연맘안은희 2004-04-12 917
4311 라다크의 엄마들처럼... 나령의 맘 2004-04-12 1206
4310 큰뫼의 농사 이야기 12 (당귀잎 먹으러 가세!) 나령 빠 2004-04-12 1653
4309 상범샘~ 최진아 2004-04-12 917
4308 벽걸이 부쓰 계획... 혜린규민이네 2004-04-13 937
4307 [답글] 사진 여러 장 꼬옥~ 챙겨 오시길... 혜린규민이네 2004-04-13 916
4306 이제서야 올립니다. 정미혜 2004-04-13 946
4305 물꼬아이들 풍경... [2] 백경아 2004-04-15 9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