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31.물날. 비

조회 수 374 추천 수 0 2022.09.14 01:59:09


비 덕이었다.

안에서 두어 가지 걸 것들을 만들었다.

 

학교에 있는 바깥해우소 벽에는

앉아 오줌 누는 사람’, ‘서서 오줌 누는 사람이라고 써 붙여

남자와 여자 쪽을 가리켜왔다.

그곳에 각각 걸어둘 그림을 그리다.

캔버스 1호쯤 되는 크기의 작은 나무판 둘 사포질.

거기 어린왕자와 앤을 그리다.(도안이 있었음)

그림도 단순했고, 채색도 간단한.

한 휴게소에서 그 둘을 한 짝으로 몇 만원에 판다는 말을 들었네, 하하.

저 아래 시커멓고 커다란 세계를 펼쳐놓는 이 해우소는

이제 그리 오래 존재치 못할 것이다.

그런데도 새 이름표를 단다. 그게 사는 자의 자세라.

낼모레 또 찾아올 멧돼지가 뒤집어놓은 도랑을 다시 고르는 일 같은.

이 낡은 학교터를 놓을 때까지 그리 살리라 한다.

 

사이집 툇마루 창에 걸 발 두 개.

다림질한 옥사에 민화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다.

나비 도안을 그리고 흰색으로 먼저 물감을 먹여두었다.

번져가는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나 궁금해 왔는데,

민화 그리는 미자샘이 기법을 가르쳐주었던.

다 그려놓고 선을 치는데,

아쿠, 서툴러서 좀 두꺼워졌네.

날지 못할 나비가 되는 듯한.

그래도 나비는 나비라.

 

비 내리는 제법 먼 길을 운전했다.

인척의 얼굴을 뵈러간 걸음.

여러 해 상담 내담자이기도 한.

어른들은 당신들이 잊히지 않았음을 확인해주는 것만으로도 쓸쓸함을 걷는다.

환한 당신을 보아 기쁘고 고마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166 [바르셀로나 통신 7] 2018. 4.27.쇠날. 맑음 옥영경 2018-04-28 1506
6165 2007.10. 5.쇠날. 흐릿하더니 걷히다 / 대전 시립미술관과 이응노미술관 옥영경 2007-10-13 1506
6164 98 계자 여는 날, 8월 16일 달날 비 옥영경 2004-08-18 1506
6163 2012. 1.28.흙날. 맑음 옥영경 2012-01-31 1504
6162 127 계자 닫는 날, 2008. 8.15. 쇠날. 쨍쨍하다 소나기 옥영경 2008-09-07 1504
6161 11월 30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4-12-03 1504
6160 6월 7일, 조릿대집으로 재입주 옥영경 2004-06-11 1504
6159 2006.8.20.해날. 흐림 / 달골 포도, 상에 오르다 옥영경 2006-09-02 1503
6158 2008. 6.29.해날. 가랑비 뒤 옥영경 2008-07-11 1502
6157 124 계자 닷샛날, 2008. 1.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2-18 1502
6156 3월 9일 물날 맑음 / 물입니다, 물 옥영경 2005-03-10 1502
6155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둘 옥영경 2004-04-28 1502
6154 4월 15일 나무날 총선 투표하고 옥영경 2004-04-28 1502
6153 6월 3일 쇠날 말짱한 하늘 옥영경 2005-06-04 1501
6152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500
6151 2007.11.26-12.2. 달날-해날 / 낙엽방학 옥영경 2007-12-17 1500
6150 120 계자 닷샛날, 2007. 8. 9.나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7-09-03 1500
6149 2006.3.24-5.쇠-흙날. 맑음. 떼 뜨러 가다 옥영경 2006-03-27 1500
6148 9월 6일 불날 저 멀리 태풍 지나가느라 예도 비 들고 옥영경 2005-09-15 1500
6147 2012. 4. 3.불날. 눈, 바람, 비 옥영경 2012-04-07 14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