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 4.해날. 뿌연 하늘

조회 수 348 추천 수 0 2022.12.28 09:16:35


숲속에 오솔길 하나 낸다. 내려한다.

어제도 했고 오늘도 한다. 내일도 하려한다. 한동안 하려한다.

삽을 들거나 괭이를 든 게 아니다.

아침수행 뒤 그저 제습이를 앞세우고 같이 걷는다.

키 낮은 나무들 사이를 산짐승들처럼 걷는다.

낙엽을 밟고, 가끔 가지를 꺾기도 하고,

청미래덩굴 가시가 옷을 잡아끌라치면 천천히 그것을 빼서 다른 방향을 꺾어준다.

한밤 달빛명상 때 우리들이 걸어가는, 북미 인디언처럼 스웨터 로지로 삼아둔,

커다란 소나무 아래로 이르는 길이다.

수우 족이나 나바호 족을 비롯한 아메리카 인디언이나 알래스카 이뉴엣에겐

자신의 영혼과 만나고 싶은 이들이 산을 방황하는 전통이 있고,

그 끝의 스웨터 로지에 이르러 방랑자는 자신을 정화시켰다.

물꼬도 숲속의 커다란 소나무 곁 작은 터를 그리 삼아왔던.

이미 오솔길 하나 있지만

사람들 눈을 피해 그곳에 다가가갈 수 있는, 비밀의 정원으로 가는 미로 같은.

그 나무 아래 정말 깃들 수 있는 움집(그야말로 스웨터 로지’)을 만드는 날도 오리.

겨울90일수행 동안 계속 밟아보려 하는.

가고 또 가다 보면 길이 될 것이다.

물꼬가 살아왔던 시간처럼.

 

왔던 교정지를 살펴본 뒤 자정에 보내다.

또 하나의 일이 매듭지어질 모양이다.

고맙다는 말도 잦으니 삼키게 되더라.

이곳 인터넷 상황이 원활하지 않을 때가 있어,

이전에도 파일이 마지막 작업 저장이 안 된 채 간 적이 있어,

맨 마지막 고친 부분을 사진으로 찍어 문자로 전송도.

교정지를 읽으며 좌절하고, 한편 또 마음을 곧추세우게도 되었던.

사람들이 나눠 읽을 만한가 의심이 들기도 한 반면

이 과정들이

글에 더욱 섬세해지며 보다 나아질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기기도 했기에.

갔다. 이제는 편집부 공이다.

아직 올해가 다 가지 않았다. 올해 나올 책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86 2024. 1.28.해날. 구름 좀 옥영경 2024-02-11 439
85 2024. 1.29.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2-11 419
84 2024. 1.30.불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61
83 2024. 1.31.물날. 안개 내린 것 같았던 미세먼지 / 국립세종수목원 옥영경 2024-02-11 460
82 2024. 2.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79
81 2024. 2. 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56
80 실타래학교 여는 날, 2024. 2. 3.흙날. 저녁비 옥영경 2024-02-11 457
79 실타래학교 이튿날, 2024. 2. 4.해날. 갬 / 상주 여행 옥영경 2024-02-11 468
78 실타래학교 사흗날, 2024. 2. 5.달날. 서설(瑞雪) 옥영경 2024-02-13 459
77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24. 2. 6.불날. 비, 그리고 밤눈 옥영경 2024-02-13 511
76 2023학년도 2월 실타래학교(2.3~6) 갈무리글 옥영경 2024-02-13 443
75 2024. 2. 7.물날. 어렴풋한 해 옥영경 2024-02-13 495
74 2024. 2. 8~9.나무~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3 494
73 2024. 2.10.해날. 힘찬 해 / 설 옥영경 2024-02-13 551
72 2024. 2.11.해날 ~ 3. 4.달날 /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24-02-13 753
71 2024. 3. 5.불날. 비 그치다 / 경칩, 그리고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24-03-27 449
70 2024. 3. 6.물날. 흐림 옥영경 2024-03-28 459
69 2024. 3.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3-28 463
68 2024. 3. 8.쇠날. 오후 구름 걷히다 옥영경 2024-03-28 437
67 2024. 3. 9.흙날. 맑음 / 사과 한 알 1만 원 옥영경 2024-03-28 4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