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5.해날. 맑음

조회 수 353 추천 수 0 2023.03.05 23:55:38


정월대보름 나물밥을 절집에서 먹었다.

남양주 천마산 봉인사에 들리다.

가평의 작은 예술제에서 함께 돌아오던 재형샘 승엽샘 준찬샘이 동행하다.

광해군 원찰이었던 봉인사는 구한말 완전히 소실되었던 것을

40년도 더 전에 적경스님의 아버님이었던 한길로 법사님이 터를 마련하고 중창했다고.

광해군 묘가 봉인사 길목에 있었다.

 

적경스님이 내주신 차를 마셨고,

시주 대신 스님의 책 두 권을 사오다.

<바우이야기-모든 이를 위한 명상동화>는 두엇의 입을 통해 들었던 바.

책 가운데 애벌레와 나비가 등장해서도 그렇겠지만

트리나 폴러스의 <꽃들에게 희망을>을 생각게 했다.

바우는 행복을 가르쳐줄 스승을 찾아 길을 떠난다.

길 끝에 만난 물이 말한다.

바우님, 과거는 지나간 현재고

 미래는 오지않은 현재일 뿐이죠.

 그러니 늘 지금, 행복을 느끼면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행복이랍니다.”

어떻게 하면 현재를 느낄 수 있는가 바우가 묻는다.

좋고 나쁘고 하는 구별은 우리가 갖고 있는 가치 기준에 맞춰 판단하는 거부의 행동이랍니다.

 지금의 모든 걸 받아들이세요.

 그냥 지켜보세요.(...)

 볼 땐 봄, ,

 들을 땐 들음, 들음,

 가려울 땐 가려움, 가려움,

 생각이 일어날 땐 생각, 생각하고 말예요.

 그러면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알게 될 거예요.”

바우는 벅찬 마음으로 저 멀리 우뚝 솟은 큰 바위를 향해 달려가 제가 찾은 것들을 나누고자 한다.

나라고 하는 존재,

 나를 한정짓고 있는 생각을 버리시고

 모든 것에 감사해 보세요.”

하지만 큰 바위는 바우가 딴 세상 말만 하는 것 같다며

진정한 행복을 가르쳐줄 스승을 찾아 그 역시 여행길에 오른다.

이미 보고 온 이가 있어도

우리는 여전히 길을 떠난다. 그가 내가 아니므로.

책은, 지루하고 낡은 느낌이었다.

모험이 아니라 관념으로 들렸기 때문인가...

곱씹어보니

어쩌면 이미 내가 오래 머물렀던 생각이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새삼스러울 게 없다는.

그렇다고 이 책의 가치가 없다는 말은 아니다.

누구에겐가는 또 귀한 깨달음일.

내가 지나치게 낡아버린 어른이 됐기 때문일 수도.

물꼬에서 수행하며 관통해온 질문 혹은 답이었으므로 너무 평이하게 느껴진 듯.

익숙했으므로.

요새는 행복찾기보다 평안하기에 더 생각을 모은다.

행복은 더, , 더한 행복이 있는 듯해서

그것 역시 욕망의 단계로 보이는데 반해

평안은 그 하나로 온전히 완성체 같아서.

우리가 찾은 행복 혹은 평화는 얼마나 깨지기 쉬운가.

오죽했으면 위대한 고승들도 득도로 끝이 아니라 날마다 수행하겠는가.

? 유지가 안되니까.

 

서울로 돌아온 일행들이

젊은 날 오래 산을 탔고 옥을 다루고 사진을 찍는 재형샘댁에 다시 모였다가

흩어졌다.

기차를 타고 내려왔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46 2023. 4.24.달날. 흐림 옥영경 2023-05-30 366
6245 2023. 4.29.흙날. 비 옥영경 2023-06-01 366
6244 2023. 5.25.나무날. 먹구름 사이 말간 하늘 옥영경 2023-07-13 366
6243 2020. 6.12.쇠날. 간간이 해 옥영경 2020-08-13 367
6242 2020. 7. 2.나무날. 흐림 / 학교를 다시 묻는다 옥영경 2020-08-13 367
6241 2020. 9. 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9-21 367
6240 2020.12.19.흙날. 맑음 옥영경 2021-01-14 367
6239 2021. 5.21.쇠날. 비 살짝 옥영경 2021-06-22 367
6238 2021. 9.24.쇠날. 맑음 옥영경 2021-11-24 367
6237 2022. 3. 8.불날. 맑음 옥영경 2022-04-04 367
6236 2022.10. 8.흙날. 맑음 옥영경 2022-10-31 367
6235 2022.12. 4.해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22-12-28 367
6234 2023. 5. 8.달날. 맑음 옥영경 2023-06-09 367
6233 2020. 7. 3.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0-08-13 368
6232 2021. 7. 5.달날. 시작된 장맛비 옥영경 2021-08-03 368
6231 2021.10.16.흙날. 비 /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옥영경 2021-12-09 368
6230 2021.11. 4.나무날. 맑음/ 내 감정의 책임은? 옥영경 2021-12-19 368
6229 2021.12.18.흙날. 눈 옥영경 2022-01-08 368
6228 2022. 2.15.불날. 흩날리는 눈 옥영경 2022-03-24 368
6227 2022. 7. 1.쇠날. 맑음 옥영경 2022-07-28 36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