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4.나무날. 흐리다 비

조회 수 357 추천 수 0 2023.06.09 03:22:57


이상무!”

가객 현승엽샘으로부터 연락이 왔다.

무슨 말인고 하니...

해마다 물꼬 연어의 날에 함께하시는 대표 축하객들이시라.

코로나19의 시절을 건너 봇물처럼 공연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올해,

승엽샘과 이생진 선생님이 하시는 시낭송과 노래 공연 역시

다시 활발하게 곳곳에서 부르고 있었다.

그런데 물꼬 오실 날이 울릉도 공연과 겹친 거라.

그렇다면 그곳으로 기울기 쉽다.

우리야 얇은 거마비 봉투 하나 드리지 못하지만

그곳은 그야말로 공식 초청이라.

그럼 이생진 선생님께 압력을 넣어야겠네, 하하!”

되는 대로 하시어요, 라고 했지만

오셨으면 하는 바람을 접을 수가 없었네.

오늘 정말 샘들이 물꼬로 오시기로 결정했다는 소식.

고맙습니다!”

지난 10년을 넘게 6월에 함께한 샘들 아니 계시면

얼마나 서운했을 거나.

우리가 올 6월도 만날 수 있다니

생이 또 넘치게 벅차지는 거라.

 

송홧가루를 업고 차가 노랬다, 먼지처럼.

비 온다 했으니 세차까지 할 건 아니어도 물은 좀 뿌려야겠더라.

사람들을 맞아 김치부침개를 내다.

비도 오기, 비가 와서.

비님 오시니 사람들도 님이 되어 오셨다네.

 

차를 내다.

큰 어르신이 팽주로 차를 달여 내주시는 자리인데

오늘 두 차례나 그 자리에 앉았다.

그러면서 아버지가 된다, 그런 문장처럼

그러면서 팽주가 되어간다.

한편 어르신이 다시 팽주가 되셨을 땐

내려주시는 차를 마시며 사람들이 다담을 나눌 적

곁에 앉아 솜을 넣으며 인형 몸통을 만들다. 



* 팽주:

찻자리의 주인을 팽주(烹主)라 부른다.

삶을 팽익힌 요리 팽.

그러니 팽다(烹茶)는 차를 끓이는 것을 말한다.

대접이라고 하면

{대접(待接):음식을 차려 손님을 모심마땅한 예로써 대함}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누구라도 팽주가 될 수 있어도

차는 스승이나 웃어른이 달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찻자리는

스승이 잘 내린 차를 마시는 것을 넘어

당신이 건네는 말몸짓삶을

보고 듣고 배우는 자리가 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26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202
6625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81
6624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66
6623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352
6622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321
6621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613
6620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239
6619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914
6618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63
6617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72
6616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251
6615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417
6614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81
6613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2002
6612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732
6611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77
6610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642
6609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437
6608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853
6607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1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