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14.해날. 맑음

조회 수 439 추천 수 0 2023.06.24 10:14:37


사는 일이 날마다 정리하는 거네.

삶의 자리를 정리하는, 그래서 언제든 떠나도 남은 일이 없는 양.

밥 먹고 설거지하고, 입고 빨고 널고 개고, 뭔가를 하고 치우고, ...

오전에는 교무실과 옷방을 정리하고 나왔고,

오후에는 고래방 뒤란 창고를 뒤집기로 한 날.

물건이란 어느새 쌓이는 속성이 있고,

공간이 창고이고 보면 곳곳의 물건들이 다 거기로 바다처럼 모이게 되는.

허니 어느 틈에 질서를 잃어버리게 되는.

한 칸은 주로 책걸상이 있으니 확인만 하면 되고,

다른 칸은 끊임없이 보수와 보강을 하는 학교의 역사에서 남은 것들이 켜켜이 층을 이룬.

그간에 정리가 왜 없었겠는가. 그야말로 어느 결에 또 그리 쌓이는 거다.

버릴 게 나오고, 다시 쓸 게 그럴 수 있도록 가지런히 자리를 잡고,

그러면 공간이 남게 된다. 새로 또 들어올 수 있는 자리.

학교에 있는 창고용 컨테이너를 비워 달골로 올리자는 계획이었고,

그러자면 그 안의 것들이 담길 공간이 필요했던 까닭이 이 청소의 알속이었다.

, 이제 컨테이너 안의 물건들을 정리해서 비워있는 공간으로 옮겨볼까?

나머지 것들은 학교 혹은 달골 곳곳 쓰일 자리로 보내면 되지.

 

아뿔싸! 컨테이너 크기가 다르다.

달골에서 농기구집으로 쓰이는 컨테이너랑 이것이 같은 것인 줄 알았고,

그 컨테이너 둘을 경사지에 양쪽으로 놓고 목공작업실을 만들 계획이었던.

그래서 컨테이너를 놓을 쇠뼈대를 여러 날 만들었던 지난주였다; ‘구두목골 작업실

수정! 학교 컨테이너를 그대로 두고,

달골은 현재 있는 농기구 컨테이너랑 같은 것을 하나 구해서 나란히 놓기로.

어디서 어떻게 구하고 옮길지는, 다음 일은 다음 걸음에!

(목공작업실은 또 왜?

달골 시대의 거점이 될. 우리 손으로 대부분의 일들을 할 거니까!)

 

하지만 내친김에 정리는 계속된다. 도랑친 김에 가재잡기로.

정리란 건 지나간 시간을 갈무리하는 일이지만

한편 다가올 시간을 맞는 일.

잘 쓰자고 정리한다.

물꼬가 끊임없이 하는 말을 다시 되내지,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양편 가운데 한쪽만 먼저 정리키로.

겨울 난로도 분해되어 이곳에 들어와 있다.

학교아저씨가 하는 일이라

그 물건이 어디로 들어가 다시 겨울에 어떻게 나오는지 거의 몰랐던.

들어가 있는 물건들은 그것을 다룬 사람들의 시간을 또 이해하게 하는.

때때마다 당신이 이 일을 하시는구나...’

20년 전의 물건 하나는 쓰임 없이 여태 포장상자 그대로 있기도.

편지와 함께 나왔다. 뜯어서 읽기야 했겠지만.

도연이네였다. 다시 고맙다.

한번 쓰고 둔 것이라고, 이 골짝에서 더 필요하겠다고,

가스통까지 실려 왔던 히터였다. 이웃에서 실어갔다.

 

2001년 세 해의 연구년이 있었고,

세 살 아이를 데리고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나면서 시작되었던 세계의 공동체 방문 때,

서울 살림은 기락샘이 안고 있다

그조차 시카고로 박사과정을 떠나면서 영동으로 내려왔다.(나도 없이 샘들이 옮겼던. 다시 고마운 그 이름자들!)

2003년 돌아와서도 열지 않았던 상자들이 있었고,

여직 안 썼다면 지금도 아쉽지 않을 것들이 대부분일 테고,

예상대로 많은 물건을 버려지는 편으로 보냈다.

뜻밖의 것들이 나와 지난 시간 앞에 나를 데려가기도.

예컨대 대학원 학생회가 준비한 <자본론> 강의를 들었던 수강증이 나오기도.

, 그런 걸 공부하던 시절이 있었다.

한 세월이 갔다. 한 시대가 떠났다.

늙었으나, 그때도 좋았고, 지금도 좋다.

지금은 우리 생애 가장 젊은 날,

이 순간도 아름다웁다.

그대도 그러신 줄 아노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746 2019.12. 3.불날. 흐림 / 해야 아는 것 옥영경 2020-01-13 431
5745 2020. 9. 3.나무날. 마른 비의 아침 지나 갬 / 구조 되다? 옥영경 2020-09-21 431
5744 2020.10.25.해날. 바람과 해 옥영경 2020-11-30 431
5743 2021.10. 6.물날. 는개와 안개비 사이 / 설악·7 옥영경 2021-12-07 431
5742 2021.11.30.불날. 비 내리다 오후 긋다 / 김장 이튿날 옥영경 2021-12-30 431
5741 2023. 7.27.나무날. 소나기 / 뜬금없는 제사 이야기 옥영경 2023-08-05 431
5740 2020.12.13.해날. 눈비 아닌 비눈 옥영경 2021-01-10 432
5739 2020.12. 7.달날. 흐림, 절기 대설 옥영경 2021-01-09 433
5738 2022.12. 1.나무날. 맑음 / 온실돔 4차 작업 옥영경 2022-12-25 433
5737 2021. 1. 8.쇠날. 맑음 옥영경 2021-01-19 434
5736 2021. 2.25.나무날. 흐리다 세우 / 산불 옥영경 2021-03-16 434
5735 2021. 3.16.불날. 도둑비 다녀간 아침 옥영경 2021-04-22 434
5734 2021.10.17.해날. 갬 / 첫얼음 옥영경 2021-12-09 434
5733 2022. 9. 2.쇠날. 오후 가랑비 옥영경 2022-09-14 434
5732 2022.11. 6(해날) ~ 9(물날). 맑고 흐리고 비 몇 방울, 그리고 개다. 아, 개기월식! / 설악산행 프로젝트 6차 옥영경 2022-11-28 434
5731 2021. 6.11.쇠날. 맑음 / 권금성이 민둥 암벽이 된 까닭 옥영경 2021-07-07 435
5730 2020. 9. 2.물날. 태풍 마이삭 옥영경 2020-09-21 436
5729 2021. 1. 6.물날. 흐려가다 밤 눈 펑펑 옥영경 2021-01-19 436
5728 2021. 7. 8.나무날. 밤비 옥영경 2021-08-03 436
5727 2023. 6. 4.해날. 맑음 / 누구 때문이 아니라 다만 그 뜻에 동참하나니! 옥영경 2023-07-19 43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