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삼거리밭에 배추와 무 모종을 심었더랬다.

오늘은 물을 주었다.

그 사이는 비 들었던.

 

하이타니 겐지로 <상냥하게 살기>를 꺼내보다가 두 곳을 접었다.

하나는, ‘결손가정에 대해 말하는 부분이었다.

세상에는 부모가 헤어져서 불행한 아이만큼

부모가 헤어지지 않아서 불행한 아이도 많다는

에리히 케스트너의 말을 재인용한 곳이었다.

아이들의 성장에 중대한 결함이 있는 가정이야말로 결손가정인 걸

아버지가 없거나 어머니가 없어서 결손이라는 건 말이 안 된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결손가정은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죽거나 이혼하거나 따로 살아서 미성년인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가정

이지러질 결’() ‘덜 손’(). 한 귀퉁이가 떨어지거나 찌그러진.

결손은 어느 부분이 없거나 잘못되어서 불완전하다는 의미.

결손가정 어린이불완전한 가정의 어린이가 되는.

다행히 대체어가 있고, 쓰고 있다.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그런데 편모나 편부가정이란 말은 어떤가?

’()치우치다’ ‘쏠리다’ ‘기울다’.

편모 편부에는 부모 양쪽이 다 있어야 균형이 맞는다는 편견이 깔렸다는 주장도 있는데,

애초 완전한 가정이라는 틀을 임의로 만들어놓고,

여기에 들지 않으면 불완전한 가정취급하는 것, 그것이 차별이라는.

, 이것도 우리말로 쓰면 무리가 없겠다; 홀어머니, 홀아버지.

사회가 말에(결국 생각)보다 예민하고 세심해진다는 건 고마운 일.

그것이 낱말에만 매달리는(민감해지는) 게 아니기로.

 

또 한 부분 접은 곳은 전신지체 장애 소녀에 대한.

100미터를 걷는 데 몇 십 분이 걸렸다.

무심한 이들이 소녀를 보고 말한다.

저 애는 무슨 낙으로 살까?”

가슴이 철렁했다.

우리 모두가 소녀의 아름다운 시간을 보지 못한다.’

그가 100미터를 걷는 동안 수많은 생명과 교류하고,

100미터가 그이 세계에도 아름다운 시간일 수 있다!

저런 게 왜 태어나서.... ”

나는 어른들이 장애아를 향해 거리낌 없이 그런 말을 하던 시절을 건너왔다.

다행히 장애아에 대한 다른 시선을 아는 세상을 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세상은 보다 섬세해졌고, 우리는 보다 인간적이 되었다.

또 한편 다른 부정적인 것들에 압도되기도 했지만.

 

섬세하게 말하려면 생각해야 하고 그러려면 자연히 찬찬히 말할 수밖에 없는 듯.

세상이 자주 너무 빠르고,

나도 너무 서두른다.

내 말하기, 생각하기가 더 느린 걸음일 수 있었음.

그리하여 그 말과 그 생각을 아이들과도 잘 나누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446 손가락 풀기를 기다린 까닭 옥영경 2004-07-11 1475
6445 7월 1일, 오늘은 무엇으로 고마웠는가 옥영경 2004-07-13 1457
6444 7월 2일, 우리는 동료입니다! 옥영경 2004-07-13 1497
6443 7월 2일, 그룹 <포도밭> 옥영경 2004-07-13 1449
6442 7월 2-3일, 안동출장 옥영경 2004-07-13 1536
6441 7월 3-4일, 지나샘 옥영경 2004-07-13 1537
6440 7월 4일, 우리는 옥영경 2004-07-13 1393
6439 7월 5일, 매듭공장 그리고 옥영경 2004-07-13 1440
6438 6월 22일 기록에서 빼먹은 옥영경 2004-07-15 1605
6437 7월 5일, 우리 아이들의 꿈 옥영경 2004-07-15 1513
6436 7월 6일, 고추밭 옥영경 2004-07-15 1517
6435 7월 6일, 감자밭 옥영경 2004-07-15 1355
6434 7월 6일, 넉넉함이 넉넉함을 부른다 옥영경 2004-07-15 1326
6433 7월 7일, 존재들의 삶은 계속된다 옥영경 2004-07-15 1438
6432 7월 8일, 새로운 후식 옥영경 2004-07-15 1374
6431 7월 8일, 그게 뭐가 중요해 옥영경 2004-07-15 1550
6430 7월 8일, 요구르트 아줌마 옥영경 2004-07-19 2638
6429 7월 8일, 마루 앞에 나와 앉아 옥영경 2004-07-19 1365
6428 7월 8일, 어른 없는 건 누구라도 좋다 옥영경 2004-07-19 1395
6427 7월 8일, 용주샘 전공을 살려 옥영경 2004-07-19 152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