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 9.달날. 흐림

조회 수 505 추천 수 0 2023.10.24 00:03:07


낙엽의 계절, 낡은 말인데 사실이 퍽 그러한 걸.

학교아저씨가 본관 옥상과 가마솥방 지붕에 올라 낙엽을 긁어내다.

큰해우소 뒤란 마른가지며 낙엽들도 치워내고,

어제그제는 삼거리 창고도 정리하고 들어오셨다고.

 

어제오늘 수좌스님 한 분 머무시는 공간에서 어른의 학교가 있었고,

늦은 밤에야 집으로 돌아오는 먼 길이었다.

저녁과 아침과 점심까지 내리 세 끼를 차려내준 밥을 받았다.

수제비 하나도 소홀함이 없는 밥상이었다.

밥상에서 주신 스님의 말씀이 맴돈다.

버는 대로 쓴다고들 하는데, 그게 아니라...”

벌려면 그만큼 노력해야 한다는 말.

생긴 대로쓴다는 말에 대해,

생기는 대로 쓰며 사는 삶에 대해 생각한다.

벌려고 덜 노력한다면 남은 그 노력으로 무엇을 하나.

그것조차 애씀이라 그 노력도 아니 한단 말인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버린다는 것은

바로 그 노력조차 않겠다는 말 아닐는지.

너무 하고사니 좀 안 하려는 물꼬 일정들 같은 거 아닐까 이해해 본다.

그 여백에 사유와 성찰이 있을.

그리고 다른 존재를 보는 눈이 있을.

 

한 분은 보험여왕이었던 시절에 대해 말했다.

자신같이 말 주변 없는 이가 어떻게 거기까지 올랐겠냐고.

설득하려고 안했어요.”

(사람들의 말을) 들었단다.

듣다가 보험의 불필요함을 말할 때, 불편을 말할 때

그 문제를 해결해주는 말을 하였을 뿐이라고.

듣기에 대해 생각한다.

입보다 귀가 커야할 나이로 가고 있다.

듣고, 그가 물을 때 대답하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26 125 계자 사흗날, 2008. 7.2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8-04 1452
625 2008.10.29.물날. 맑음 옥영경 2008-11-04 1452
624 128 계자 사흗날, 2008.12.30.불날. 눈 옥영경 2009-01-07 1452
623 6월 15일, 야생 사슴과 우렁각시 옥영경 2004-06-19 1453
622 7월 22일, 새벽 세 시에 잠깬 아이들이 간 곳은 옥영경 2004-07-28 1453
621 4월 8일 쇠날 뿌옇게 밝네요 옥영경 2005-04-15 1453
620 4월 16일 쇠날, 황성원샘 다녀가다 옥영경 2004-04-28 1454
619 7월 1일, 오늘은 무엇으로 고마웠는가 옥영경 2004-07-13 1454
618 보름달 그이 옥영경 2004-10-28 1455
617 2008. 4. 8.불날. 맑음 옥영경 2008-04-20 1456
616 [바르셀로나 통신 8] 2018. 6.24.해날. 맑음 옥영경 2018-07-07 1457
615 2월 8일 불날 흐림 옥영경 2005-02-11 1458
614 11월 28일-12월 5일, 낙엽방학 옥영경 2004-12-03 1459
613 7월 22일 쇠날 37도라나요, 백화산 933m 옥영경 2005-07-31 1459
612 142 계자 닷샛날, 2011. 1. 6.나무날. 소한, 눈날리던 아침 옥영경 2011-01-10 1459
611 2011.10.23.해날. 맑음 / 서울나들이(148계자) 옥영경 2011-10-31 1459
610 2007. 5. 4.쇠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460
609 2007.12.24.달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460
608 1월 25일 불날 눈, 101 계자 둘째 날 옥영경 2005-01-27 1461
607 3월 14일 달날 맑음, 김연이샘 옥영경 2005-03-17 146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