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엄마의 메일을 받는다.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딸아이를 위해 줄

좋은 글귀를 하나 보내달라는데,

찾자면 또 얼마나 흔할 좋은 글들이겠는지.

이 변방 깊은 곳에 사는 물꼬가 뭐라고 우리 존재를 확인시켜주시었네.

긴 말을 할 처지도 아니고 그저 두어 문장과 함께 오직 기쁘게 사시라하였다.

헤르만 헤세의 시 어딘가에서 그랬지,

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이라고.

기쁨이 없는 사람이 세상을 피곤하게 만든다고.

그런데 그 답 메일은 그 딸을 위한다기보다 어머니를 위한 글월이라 말씀드렸다.

어머니가 기쁘면 딸도 엄마를 좇지 않겠는지.


과일이 거의 떨어지지 않는 물꼬 부엌이다.

지난 한 달 가까이 인도에서 머물다 왔다. 물가도 싸거니와 과일은 더 싼.

넘치는 과일을 달고 있다가 왔으니

사과 11만 원이 넘는 가격은 가격표의 숫자를 자꾸 다시 세게 했다.

왜 이리 비쌀까?

작황이 나쁘면 비쌀 밖에.

뭐 농사란 게 올해 나쁘다고 내년에 나쁜 것도 아닐.

그렇더라도 어느 정도여야지. 왜 이다지도 비싼 걸까?

기후위기? 기후요인이라면 전 세계가 같이 겪는다.

몇 해째 벌이 줄고, 수분을 못해 사람이 붓으로 꽃가루를 묻혀주어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몰랐던 사실인데, 한국의 농산물 가격은 좀 특이했다.

서울이 제일 싸물건도 젤 좋아.”

스무 살 무렵 한 선배가 했던 말은 오래 잊히지 않았더랬다.

보통 생산지에서 생산자들이 경매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는 여느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90% 가까이 서울의 공영도매시장, 그러니까 소비지에서 가격이 결정된단다.

1985년 만들어진 경매제도.

모조리 가락시장에 모인 농산물들이 지방으로 내려가며 또 경매, 경매.

내려가며 유통비가 붙다보면 때로 생산지가 더 비싸지게도 되는.

가락시장의 공영도매시장에는 다른 거래제도가 없다.

농안법 시행령으로 직거래도매상이 들어서지 못하게 막아뒀다고.

아니다, 법으로는 있지만 복잡하고 까다로워 결국 하지 말라는 말이란다.

농협 포함 6개 청과회사의 대주주가 대기업. 그들이 독점적 수탁권을 가지는.

공영도매시장은 세금으로 운영되는데, 매매차익은 온전히 대주주의 몫이다.

그러니까 값이 높다고 농가가 그 혜택을 갖는 것도 아닌.

결국 독점구조의 폐해였다.

그러면 수입을 하면 되잖나.

검역조치며 그 과정이 또 길다네. 4, 5년 걸린다고.

문제는 이런 지점에서의 정책이다. 현 정부의 대응책.

소비 생산 유통 수입, 촘촘하게 살펴 정책을 내놓는 게 아니라

마치 필수의료와 지방의료를 살리는 일에 의대증원 2천 명 밖에 생각 못하고

또 그 여파도 모른 채 툭 던지는 정책처럼

이 역시 한 가지밖에 모르는. 수입하면 되지, 하는.

물가관리가 안 되는 거다. 무대책인 거다.

물론 이게 쌀만큼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거라 그럴 수도 있다지만

가끔 사과도 먹어야지!

물론 아쉽지만, 대체재가 없는 건 아니지. 사과 없으면 바나나 먹지.

그런데 그것마저 싸지 않다.

정말 심각한 문제는 밥상 물가 관리에 대한 정부의 모자란 인식이다.

후쿠시마 원전 해양수에 대한 대응이 그 모양이었던 것도 같은 맥락일.

그러니 사과 한 알 1만원 가격이 인재로 보일 밖에.

무능한 정부다.

이건 뭐 전문성이라고는 없다.

유통구조를 개선하거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거나 무엇도 없다.

마냥 올라가는 사과값으로

앞으로 우리 밥상이 더 열악해질 것을 내다본다.

식량자급률도 떨어질.

정부 부재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다음은 이제 국민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묻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925 2021.10. 6.물날. 는개와 안개비 사이 / 설악·7 옥영경 2021-12-07 430
924 2019.12. 3.불날. 흐림 / 해야 아는 것 옥영경 2020-01-13 430
923 2023. 6. 4.해날. 맑음 / 누구 때문이 아니라 다만 그 뜻에 동참하나니! 옥영경 2023-07-19 429
922 2022. 9. 2.쇠날. 오후 가랑비 옥영경 2022-09-14 429
921 2020.10. 2.쇠날. 도둑비 다녀간 옥영경 2020-11-15 429
920 2024. 1.28.해날. 구름 좀 옥영경 2024-02-11 428
919 2020.11.14.흙날. 맑음 / 나는 기록한다. 왜? 옥영경 2020-12-16 428
918 2020. 8.17.달날. 맑음 옥영경 2020-08-30 428
917 2022.11. 6(해날) ~ 9(물날). 맑고 흐리고 비 몇 방울, 그리고 개다. 아, 개기월식! / 설악산행 프로젝트 6차 옥영경 2022-11-28 427
916 2022. 4. 3.해날. 맑음 / 설악산 아래·3 옥영경 2022-05-03 427
915 2021. 7. 4.해날. 새벽에 비 그치고 갠 옥영경 2021-07-30 427
914 2021. 1. 7.나무날. 밤새 눈 옥영경 2021-01-19 427
913 2020. 4.17.쇠날. 천둥과 함께 소나기 옥영경 2020-07-06 427
912 2022. 4.18.달날. 흐린 오후 옥영경 2022-05-16 426
911 2021.12. 3.쇠날. 맑음 / 금오산 옥영경 2021-12-31 426
910 2023. 7.27.나무날. 소나기 / 뜬금없는 제사 이야기 옥영경 2023-08-05 425
909 2023. 7.14.쇠날. 비 옥영경 2023-08-03 425
908 2월 어른의 학교 이튿날, 2022. 2.26.흙날. 밤 소나기 지나다 옥영경 2022-03-24 425
907 2021. 4.26.달날. 맑음, 달 둥실 옥영경 2021-05-26 425
906 여름 청계 닫는 날, 2023. 7.30.해날. 맑음 옥영경 2023-08-05 42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