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5.불날. 맑음

조회 수 1310 추천 수 0 2007.06.22 23:09:00

2007. 6. 5.불날. 맑음


“늘 옆에 놔두고 읽으면서 외워.”
셈놀이 시간입니다.
형아가 동생에게 구구단 잘 외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8학년까지 한 교실에서 공부하겠다는 까닭 가운데 하나도
이런 것이라지요.
예전 마을 안에서 후배가 선배들을 통해 배운 것들이
어른들이 가르친 것보다 더 선명하게 남아있던 경험들이 컸습니다.
그런 마을 문화를 만들어보려는 것도
학년통합교실의 장점 한 자리를 차지하는 거지요.

달골 포도밭은 한참 줄을 묶고 있습니다.
리본을 묶는다고 하지요.
알맹이가 무거워지면 축축 늘어질 걸 대비하는,
줄기가 그 무게를 이기도록 돕는 겁니다.
종대샘은 상시적으로 머물고 있지 않으니 특정일을 집중적으로 하기보다
포도밭일, 소사일, 그리고 가마솥방일을 손 되는대로 찾아 하고 있지요,
가끔 고기로 우리들을 몸보신도 시키고.
오늘도 점심 저녁 밥상을 그가 차렸답니다.
참 신기하지요, 별로 홀로 밥을 지어먹은 경험이 없는 이들도
공동체에 오면 자기를 이렇게 필요한 일에 쓰게 됩니다.
그게 또 공동체의 매력이다 싶어요.

몇 해 다른 나라에 나가있다 들어왔던 2003년,
한 대학의 영어과에 청강을 다녔습니다,
앞으로도 외국 공동체하고 교류를 계속하자 하고
언어감각이 떨어질까 공부를 하겠다고.
그때 만난 연으로 2004년과 2005년
일어과 영어과 외국어교수들이 주에 한 차례 물꼬에 자원봉사를 오기도 했지요.
그때 중국어과 조교도 알게 되었는데,
오늘 영동대에서 하는 공연 하나를 보다가 만났습니다.
물꼬 소식을 물어왔고,
그 사이 당신은 중국어전임강사가 되었다지요.
“저도 마이클과 스미코처럼 자원봉사를 가고 싶은데...”
이제 우리 아이들 중국어도 배우겠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66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88
1365 3월 빈들 여는 날, 2009. 3.20.쇠날. 맑음 / 춘분 옥영경 2009-03-29 1288
1364 2012. 2. 5.해날. 흐리다 맑다 / '발해 1300호' 14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2-02-17 1288
1363 7월 23일, 집으로 옥영경 2004-08-05 1289
1362 9월 9일 나무날 먹구름 있으나 맑다고 할 만한 옥영경 2004-09-17 1289
1361 5월 7일 흙날 안개비로 꽉차 오다 맑았네요 옥영경 2005-05-14 1289
1360 7월 28일 나무날 비 옥영경 2005-08-01 1289
1359 2005.11.24.나무날.맑음 / 샹들리에 옥영경 2005-11-25 1289
1358 2005.12.22.나무날.밤새 눈 내린 뒤 맑은 아침 / "너나 잘하세요." 옥영경 2005-12-26 1289
1357 2007. 9.12.물날. 맑음 옥영경 2007-09-25 1289
1356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옥영경 2008-12-06 1289
1355 8월 29일-9월 12일, 밥알 모남순님 옥영경 2004-09-17 1290
1354 2006.3.23.나무날. 맑음 / '두레상' 옥영경 2006-03-27 1290
1353 2006. 9.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5 1290
1352 2006.12.29.쇠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90
1351 2007. 2.26.달날. 맑음 옥영경 2007-03-06 1290
1350 2007. 3.27.불날. 정오께 짙은 구름 들더니 빗방울 옥영경 2007-04-09 1290
1349 2007. 9.21.쇠날. 갬 옥영경 2007-10-05 1290
1348 2008. 1.26-7.흙-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90
1347 4월 몽당계자(130 계자) 이튿날, 2009. 4.11.흙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2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