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5.불날. 맑음

조회 수 1306 추천 수 0 2007.06.22 23:09:00

2007. 6. 5.불날. 맑음


“늘 옆에 놔두고 읽으면서 외워.”
셈놀이 시간입니다.
형아가 동생에게 구구단 잘 외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8학년까지 한 교실에서 공부하겠다는 까닭 가운데 하나도
이런 것이라지요.
예전 마을 안에서 후배가 선배들을 통해 배운 것들이
어른들이 가르친 것보다 더 선명하게 남아있던 경험들이 컸습니다.
그런 마을 문화를 만들어보려는 것도
학년통합교실의 장점 한 자리를 차지하는 거지요.

달골 포도밭은 한참 줄을 묶고 있습니다.
리본을 묶는다고 하지요.
알맹이가 무거워지면 축축 늘어질 걸 대비하는,
줄기가 그 무게를 이기도록 돕는 겁니다.
종대샘은 상시적으로 머물고 있지 않으니 특정일을 집중적으로 하기보다
포도밭일, 소사일, 그리고 가마솥방일을 손 되는대로 찾아 하고 있지요,
가끔 고기로 우리들을 몸보신도 시키고.
오늘도 점심 저녁 밥상을 그가 차렸답니다.
참 신기하지요, 별로 홀로 밥을 지어먹은 경험이 없는 이들도
공동체에 오면 자기를 이렇게 필요한 일에 쓰게 됩니다.
그게 또 공동체의 매력이다 싶어요.

몇 해 다른 나라에 나가있다 들어왔던 2003년,
한 대학의 영어과에 청강을 다녔습니다,
앞으로도 외국 공동체하고 교류를 계속하자 하고
언어감각이 떨어질까 공부를 하겠다고.
그때 만난 연으로 2004년과 2005년
일어과 영어과 외국어교수들이 주에 한 차례 물꼬에 자원봉사를 오기도 했지요.
그때 중국어과 조교도 알게 되었는데,
오늘 영동대에서 하는 공연 하나를 보다가 만났습니다.
물꼬 소식을 물어왔고,
그 사이 당신은 중국어전임강사가 되었다지요.
“저도 마이클과 스미코처럼 자원봉사를 가고 싶은데...”
이제 우리 아이들 중국어도 배우겠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26 2007. 3.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03-28 1301
5425 2005.12.15.나무날.눈 쌓인 맑은 아침 / 생겨 먹길 그리 생겨 먹었다? 옥영경 2005-12-17 1301
5424 9월 25일 흙날 맑되 어스름에는 흐려진 옥영경 2004-09-28 1301
5423 2012.12. 3.달날. 푹하다 바람과 비 흩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2-12-17 1300
5422 2011. 6.12.해날. 황사인가 / 단식 7일째 옥영경 2011-06-18 1300
5421 2011 봄 몽당계자(4.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11-05-05 1300
5420 2011. 4.14.나무날. 맑은 옥영경 2011-04-25 1300
5419 2011.11.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1-11-23 1299
5418 2011.10.29.흙날. 흐리다 늦은 밤 부슬비 옥영경 2011-11-11 1299
5417 146 계자 닫는 날, 2011. 8.12.쇠날. 해, 반갑다, 그리고 다시 내리는 가랑비 옥영경 2011-08-29 1299
5416 2005.11.23.물날.맑음 / 교육이 서 있는 지점 옥영경 2005-11-25 1299
5415 11월 22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1-26 1299
5414 2008. 4.19.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11 1298
5413 2008. 3.13.나무날. 한밤중 비 옥영경 2008-03-30 1298
5412 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옥영경 2007-04-16 1298
5411 2007. 2. 25.해날. 비 지나다 옥영경 2007-03-06 1298
5410 108 계자 첫날, 2006.1.2.달날.맑음 옥영경 2006-01-03 1298
5409 3월 12-3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5-03-17 1298
5408 3월 6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3-06 1298
5407 10월 10일, 가을소풍 옥영경 2004-10-14 12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