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6. 7.나무날. 흐린 오후

조회 수 1281 추천 수 0 2007.06.22 23:10:00

2006. 6. 7.나무날. 흐린 오후


아이들이 단소와 장구를 배우는 것 못잖게
피아노를 익히는 일도 아주 재미를 붙인 요즘입니다.
시키지도 않았는데 이제 자기 아는 노래 음 찾아가기를 하고 있지요.
가령 #이 둘 붙은 애국가를 다른 조로 바꾸어도 칩니다.
그게 ‘조바꿈’으로 중학교에 가서야 배우는 거 아니던가요.
그런데 그게 뭔지는 모르고 저들이 시작한 음에서 노래를 치며 음계를 찾다보니
자연스레 그리 되는 게지요.
곁에서 아주 신기해서 입이 다 벌어진다니까요.

산골에는 별 게 다 화젯거리이지요.
사람 많지 않으니 뉘 집 소가 뉘 집 개가
어느 집 나무가 어느 집 밭이 주인공들입니다.
“장순이가 새끼 밴 것 같애요.”
“틀림없어요. 배에 검은 점이 6개 생겼어요.”
“늘 묶여있는데...”
“쫄랑이도 잡개랑 그랬잖아요.”
“아빠가 누굴까?”
“그럼, 그의 아이들은 진돗개가 아닌 거야?”
“바로 잡종이라고 하죠.”

달골에 올라가 대청소를 하는 저녁입니다.
종대샘이랑 류옥하다랑 땀이 비 오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245 2007.12.15.흙날. 눈발 옥영경 2007-12-31 1381
5244 2007.12.16.해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446
5243 2007.12.17.달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341
5242 2007.12.18.불날. 오후 진눈깨비 옥영경 2007-12-31 1521
5241 2007.12.19-22.나무-흙날 / 유기농업연수 옥영경 2007-12-31 1538
5240 2007.12.22.흙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401
5239 2007.12.23.해날. 흐림 옥영경 2007-12-31 1373
5238 2007.12.24.달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456
5237 2007.12.25.불날. 흐림 옥영경 2007-12-31 1523
5236 2007.12.26.물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383
5235 2007.12.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2-31 1362
5234 2007.12.28.쇠날. 비 옥영경 2007-12-31 1382
5233 2007.12.29.흙날. 그예 눈 뿌렸네 / 122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8-01-01 1800
5232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2049
5231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503
5230 122 계자 사흗날, 2008. 1. 1.불날. 햇살 속으로도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08-01-05 3110
5229 122 계자 나흗날, 2008. 1. 2.물날. 맑음 옥영경 2008-01-06 1797
5228 122 계자 닷샛날, 2008. 1. 3.나무날. 맑음 / 까치산 옥영경 2008-01-07 1790
5227 122 계자 닫는 날, 2008. 1. 4.쇠날. 맑음 /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8-01-08 4308
5226 2008. 1. 4.쇠날. 맑음 / 평마단식 강연 옥영경 2008-01-08 155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