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4.불날. 비

조회 수 1129 추천 수 0 2007.09.23 16:57:00

2007. 9. 4.불날. 비


셈놀이가 있는 불날입니다.
집중교과는 학기마다 과목이 달라지지만
학교사정으로 이번학기는 지난 학기에 이어 합니다.
상범샘이 아이들과 복습을 하고 있었지요.
두어 차례 되짚기가 끝나면
도량형과 도형을 다뤄보려 합니다.

학기가 시작되긴 했나봅니다.
고요하게 바라보기도 하고
피아노에 맞춰 노래 부르는 소리도 들리고
장편동화를 읽어주는 샘의 목소리가 학교를 채우고 있습니다.

저녁은 종훈네서 기락샘 맞이 상이 차려졌습니다.
원님 덕에 나팔이지요,
공동체식구들이 몸보신하였지요.
“종훈이아빠가 차린 게 없다고 어찌나 뭐라 그러는지...”
박진숙엄마의 겸연쩍은 인사입니다.
상에 빈자리가 나지도 않았거니와
그가 잘 먹는 요리 하나만 있으면 최고의 상이지요.
저만 하더라도 고구마줄기무침을 어찌나 맛나게 먹었던지요.
마지막에 나온 누룽지는
비오는 밤에 차처럼 마시기에 얼마나 좋았던지요.

임시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종훈네서 밥을 먹은 뒤끝이었지요.
두레상을 가을 학기에는 쉬기로 합니다.
사람이 많지 않으니 서로 연락이 어려운 것도 아니고
의논체계가 복잡할 것도 없고
외려 구성원들 각자가 시간을 잘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지혜롭지 않겠냐는 것이었지요.
같이 명상할 자리가 없어 아쉬우나
공동체에서도 아침모임을 하고
종훈네서도 국선도 수련을 하고 있으니
영성훈련의 장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지요.
어른들에겐 스스로를 잘 다듬는 한 학기가 될 겝니다.
다가오는 겨울 긴 긴 밤은
우리를 더욱 영적으로 성장시킬 시간이지 않겠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386 2016. 7.19.불날. 맑음, 밤안개 옥영경 2016-08-06 747
4385 2016. 7.18.달날. 찌푸찌푸해가는 오후 옥영경 2016-08-06 740
4384 2016. 7.17.해날. 갬 옥영경 2016-08-06 702
4383 2016. 7.16.흙날. 비 옥영경 2016-08-06 696
4382 2016. 7.15.쇠날. 빗방울 다섯 옥영경 2016-08-06 691
4381 2016. 7.11~14.달~나무날. 자주 흐리고 잠시 볕 보이기를 반복 옥영경 2016-08-06 744
4380 2016. 7. 8~10.쇠~해날. 개고 이튿날 이 산마을도 33도 옥영경 2016-08-06 701
4379 2016. 7. 7.나무날. 작달비 주춤 / 노동만이 오직 정직하다! 옥영경 2016-07-21 846
4378 2016. 7. 6.물날. 갬 옥영경 2016-07-21 693
4377 2016. 7. 5.불날. 비 좀 멎고 해, 아주 잠깐 나 있노라 얼굴 내민 옥영경 2016-07-21 705
4376 2016. 7. 3~4. 해~달날. 창대비 옥영경 2016-07-21 717
4375 2016. 7. 1~2.쇠~흙날. 비 내리다 개다 다시 내리고 옥영경 2016-07-21 762
4374 2016. 6.30.나무날. 흐림 / 나랑 사는 이 옥영경 2016-07-21 738
4373 2016. 6.2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21 702
4372 2016. 6.28.불날. 아침 절부터 흐려가는 옥영경 2016-07-21 735
4371 2016. 6.27.달날. 맑음 옥영경 2016-07-21 696
4370 2016. 6.25~26.흙~해날. 맑음 옥영경 2016-07-16 743
4369 2016. 6.24.쇠날. 창대비 옥영경 2016-07-16 709
4368 2016. 6.23.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695
4367 2016. 6.22.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70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