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上: 역행을 짧게하면 점이되고 길게하면 한일자가 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下: 글획과 글획이 두번 중첩되어도 어색하지 않고 아귀가 꼭 맞아야 한다.



팔점서법의 4번째는 역행(力行)이다.
역행이란 손목으로 붓을 밀고가면 역행이고 손이 먼저나가면 순류(順流)가 되는 것이다.
물론 붓 털을 돈(頓)에서 잘 펴서 힘있게 가야 역행(力行)이지
아무리 힘있게 간다 하더라도 붓털이 펴지지 않고 가면 역행이 아니다.
역행(力行)은 붓이 힘있게 가서 글이 쓰여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역행(力行)의 기능은 힘차게 글을 쓰는 이외에 또 한가지는 글씨의 장단을 설정하는 것이다.
가령 점(点)을 찍을 때는 역행을 조금 가게 하고
한 일(一)자를 쓸 때는 옆으로 길게 역행을 해야 하고.
뚫을 곤(곤)자를 쓸 때는 밑으로 역행을 길게 해야 한다.

이 때 붓 잡는 법(執筆法)도 관직(管直)으로 해서 역행을 해야 한다
원래 붓은 관직(管直:붓대구멍을 곧게)을 해서 글씨를 쓰야 하지만 이 역행만은 손목으로 붓을 밀고 가야 하기 때문에 붓을 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금 기울여 쓰도 상관없다.
다시 말해서 처음(역기逆起, 육落, 돈頓)시작에서는 반드시 붓을 곧게 세워서(관직:管直) 글을 쓰야하고
역행에서는 조금 기울이다가 마무리 단계(주住, 최, 돈頓, 제수齊收)에서 다시 붓을 곧게 세우기 때문에 붓을 기울게 해도 관직(管直)이라고 볼 수 있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창포
갑자기 붓을 들어 마음 心자를 써보고 싶어집니다^^ 08·10·18 10:17


산다람쥐
머리속에선 가능할 것도 같은데 손이 말을 들을 지 모르겠네요.
문외한인 제가 바라 봐도 글씨체가 힘이 들어가 보입니다. 08·10·18 10:53


구들장이
힘을 주지 않아도 팔점서법으로 쓰면 모든 글 씨가 힘 있게 보입니다. 08·10·18 13:09
수정 삭제

나비나라
붓끝이 두번가면서도 흐트러짐이 없이 글자가 완성되니...
그래서 글자가 명확해지고 힘이 들어가는가 봅니다...
문제는 그 흐트러짐을 없애는 수련과정이 끝없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강도 아니고 약도 아닌 고른 힘의 분배로 손목을 일정하게 밀고 나가야 하니...
엄청난 수련과정이 필요하겠습니다...
진도가 나갈수록 피나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걸 절실히 느낍니다.. 08·10·18 22:16


구들장이
처음 붓가는 법을 배울 때는 팔굼치나 손묵을 책상이나 왼손으로 고정시켜서 배우면 초보자에게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초가 끝나면 필력을 얻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이 필요 하겠지요
서예 대가가 되지않을 생각이라면 기초만 알고 몇 개월만 체본을 보고 연습하면 저가 쓴 상량문 정도는 쓰게 됩니다.
기초 8가지를 다 게시하고 자상하게 설명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7005
3985 저도 잘 도착했습니다.^-^ [1] 김나윤 2004-07-12 1009
3984 대안학교법(교육법개정안 60조 3항) 관련 워크샵을 엽니다 대안교육연대 2004-07-13 986
3983 논둑, 밭둑, 학교주변 풀베기를 합니다. [3] 나령빠 2004-07-15 1322
3982 물꼬형 인간 [1] 성준빈이엄마 2004-07-16 998
3981 비가 쏟아지는데.. [1] 구리정아 2004-07-16 902
3980 큰뫼의 농사 이야기 33 (논둑 베기) 나령빠 2004-07-16 1314
3979 안녕하세요. 줌마샘입니다.ㅋㅋㅋ [1] 이용주 2004-07-17 1050
3978 도착 잘 하였습니다. [7] 나령빠 2004-07-19 1288
3977 도착잘하였습니다. [6] 김주묵 2004-07-19 947
3976 물꼬에선 요새... [3] 장선진 2004-07-20 931
3975 물꼬에서 슈랙을 봤던 성준이의 소감.. 성준빈이엄마 2004-07-20 1140
3974 문화예술교육 사례 3차 온라인 공모 image 아르떼 2004-07-21 1361
3973 책 잘 받으셨나요? [2] 구리정아 2004-07-21 928
3972 3번째 계자에 참석하겠습니다. 천유상 2004-07-22 966
3971 상범샘~~ ~ (중요중요*)ㅋ [1] 기표 2004-07-23 929
3970 샘들 한학기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나령빠 2004-07-23 1242
3969 한 학기 동안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 [2] 해달뫼 2004-07-23 924
3968 긴치마를 입은 엄마를 보고... [1] 성준.빈이엄마 2004-07-23 1018
3967 덥네요 정미혜 2004-07-23 984
3966 안녕하세요^^;저기억하실지...ㅠㅠ [8] 구현지 2004-07-24 9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