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여러가지 글자 획에서 촤(엎을 촤)의 위치 (그림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보면 선명합니다.)


꺽을 촤 라고 하는 글자가 컴에 뜨지 않네요
비슷한 꺽을 최(手+崔) 또는 꺽을 좌(手+坐 )라는 글자는 있는데...
'꺽을 촤'보다는 여기서는 '엎을 촤' 로 하면 더 뜻이 들어나겠습니다.
⑥촤(엎을 촤)는 글씨를 마무리 할 때 멋 있고 자기가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기에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한 일(一)자일 경우 가로 획의 굵기에 맞게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가서 ⑥촤(엎을 촤)를 하면 멋 있는 잠두(蠶頭:누에머리)가 나오고
한 일(一)자로 오른 편으로 왔다가 덮을 멱(冪)자를 쓰고자 할 때 이 ⑥촤(엎을 촤)를 밑으로 눌러 하면 민갓머리가 멋 있게 쓰여지고
뚫을 곤(ㅣ)자로 내려와서 왼편에서 오른쪽으로 ⑥촤(엎을 촤)를 하면 나라 송(宋)자가 멋있게 되고
뚫을 곤(ㅣ)자로 내려와서 오른 편에서 왼편쪽으로 ⑥촤(엎을 촤)를 하면 길영(永)자가 멋있게 되고
위에서 왼 편으로 내려서 다시 오른 쪽으로 ⑥촤(엎을 촤)를 하면 마음 심(心)자가 멋있게 되고
위에서 오른 편으로 내려서 다시 한번 더 ⑥촤(엎을 촤)를 하면 새을(乙)자가 멋 있게 된다.

이 ⑥촤(엎을 촤)를 할 때도 앞에서 말한 ②육락(육落)과 마찬가지로 붓 끝의 기점은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면 안된다.
만약 움직였다면 다음으로 연결되는 글씨의 획이 어긋나서 연결도 되지않고 보기도 싫고 힘이 없게 보인다.
그렇다고 모양을 내기 위해 두번 이상 붓을 눌려 기점을 맞추면 이는 개칠이니 팔점서법이 아니다.

다시 운필에 있어서
⑤주(住:머물주)에서 ⑥촤(엎을 촤)를 하는 방법과 그 원리는
처음에 ①역기(逆起)를 해서 코피가 툭 떨어지듯이 역기해서 올라온 역순으로 엎어 쓰는 ②육낙(육落)과 똑 같은 원리입니다
그래서 ⑤주(住)에서 글씨를 마무리 한다든지 다시 다른 휙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붓을 꺽어 엎어서 쓰야 보기도 좋고 글 획이 같은 깃점에서 서로 엎어져서 아귀가 맞게 되는 겁니다.

설명이 어려울 것 같아 한일(一)자 예를 한번 더 들면
처음 붓을 대면서 글씨를 예쁘고 자기가 원하는 모양의 글씨를 만들려면 ②육낙(육落)을 잘 해야 마제(馬蹄:말발꿉)가 멋 있게 나오고
마지막에 마무리 할 때 잠두(蠶頭:누에머리)를 멋 있게 하려면 이 ⑥촤(엎을 촤)를 잘 엎어쓰야 됩니다.
그러므로 이 ⑥촤(엎을 촤)도 육낙과 같이 코피가 그냥 툭 떨어 지듯이 사심없는 무심작에서 좋은 글씨가 나오게 된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나비나라
엎을 촤...
글씨를 멋있게 만들기 위한 마무리 획이라는 건 이해가 가는데...
운필이 생각보다 참 힘들군요....
어쩌면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이것이 바로 되어야 글씨가 제대로 완성이 되는 듯 하니 말입니다...
더 많은 연습을 해야 겟습니다....오늘은 갑자기 더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08·10·25 18:26


구들장이
인터넷상으로는 원만히 알기가 어렵지요
사실은 직접보면서 연습 몇 번하면 되는데....
기초 6가지를 올렸고 이제 2가지 남았습니다.
운필법은 8가지 기본이 끝나고 적어 볼랍니다.
우선 나비나라님과 같이 공감이 가는지가 궁금합니다.
질문을 많이 해 주셔야 글 쓰는 방향을 잡을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08·10·25 18:50
수정 삭제

제이리
구들장이님 안녕하세요 ?
대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인 구들연구소에서
몸으로 부딪쳐 가면서 연구하시는 모습이 보기가
좋습니다.
다방면에 여러 재능을 가지신 구들장이님께 박수를
보냅니다.....^^ 08·10·25 22:52


구들장이
짧은 만남에서 수박 겉 할기식 설명이라 이해가 되지 않을 겁니다.
땅속집짓기는 팔점서법 연재 끝나는대로 올려 보충하겠습니다.
덕담과 박수 감사히 받겠습니다. 환절기에 건강하세요 08·10·26 05:50
수정 삭제

창포
이해가 쉽진 않치만 스는법을 온전히 읽힌다면 좋은 글씨를 쓸 수 있을 것 같아
몇번씩 읽혀 보고 있습니다 08·10·26 09:03


구들장이
저는 서예가가 아닙니다.
그러나 팔점서법의 기능적 기초를 알고 있기에 어떠한 글씨도 이해하며 적을 수 있습니다.
위에 게시한 그림의 각 획의 연결부분을 잘 보시면 이해가 가리라 여겨집니다.
서로 아귀가 꼭 맞게 쓰여 졌으나 기초만 조금 알고 체본을 가지고 몇개월만 써본다면
무한정으로 다니는 서예확원이나 대가들에게 사사를 받지않아도 됩니다.
그만큼 좋은 기법이니 희망과 용기를가지라는 뜻으로 강조해 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45938
3985 안녕 하세요 저 재호에요 [1] 장지은 2008-10-28 913
3984 게시판의 댓거리 꼭지에 대하여 물꼬 2008-10-28 959
3983 전력소비 많은 냉장고 60%만 채우면 절약 효과 생활지혜 2008-10-27 1197
3982 ㅋㅋㅋ [4] 민우비누a 2008-10-27 1075
3981 八點書法/ 마음 심(心)자의 파임은 3개의 획이 합쳐져서 이루어 진다. file [1] 無耘/토수 2008-10-27 1382
3980 八點書法/ 두번째 돈(頓)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38
» 八點書法/ 촤(꺽을촤)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3296
3978 八點書法/ 주(住)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413
3977 八點書法/ 팔점서법으로 쓴 한일(一)자를 뚫을 곤(ㅣ)자로 세워 보았습니다. file 無耘/토수 2008-10-27 1922
3976 八點書法/ 팔점서법의 음양구분을 횡적으로 표시해 본 것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87
3975 八點書法/ 역행(力行)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297
3974 八點書法/ 돈(頓)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536
3973 八點書法/ 육낙(육血+刀 落)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3346
3972 八點書法/ 역기(逆起)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2117
3971 八點書法/ 영자팔법과 팔점서법의 비교는 구조와 기능의 차이 imagefile [1] 無耘/토수 2008-10-27 4201
3970 八點書法/ 팔점서법의 비법을 공개하면서 file [2] 無耘/토수 2008-10-27 4245
3969 물꼬♡ [2] 백진주 2008-10-26 961
3968 태석샘 다녀갔어요 [5] 류옥하다 2008-10-26 1011
3967 11월 29일 대안교육학부모연대가 출범합니다... 대안교육학부모연대 2008-10-24 936
3966 한빈이엄마 최소나님께 물꼬 2008-10-22 105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