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23-24.해-달날. 비 내린 다음날 개다

조회 수 1480 추천 수 0 2007.10.05 22:21:00

2007. 9.23-24.해-달날. 비 내린 다음날 개다


종대샘까지 고향집에 가고 나니
학교도 공동체도 텅 빕니다.
삼촌하고만 남았습니다.

추석이 낼모레, 음식들을 좀 장만합니다.
시절음식은 못해도
애호박부침개에 동태전도 하고
해물파전 고구마튀김 인삼튀김,
그리고 나물도 좀 합니다.
김치는 못 담아도 겉절이도 내고.
한가위라면 햇과일이며 햇곡식이며
그믐날 밤 송편도 빚고 둥근 달 아래 강강술래도 하고
차례 지낸 뒤 씨름도 하고 투호도 던지는 게 떠오를 테지만
뭐니 뭐니 해도 어머니 계신 지붕 아래로 깃들거나
혹은 내 정든 고향 언덕에 부비는 것이 젤 큰 의미 아닐까 싶습니다.

모다 다사로우소서.
풍성하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106 2022. 8. 1.달날. 비 / 학교 갈 준비가 되었는가? 옥영경 2022-08-08 378
6105 2022. 8.18.나무날. 맑음 / ‘우리끼리 계자’ 닫는 날 옥영경 2022-08-26 378
6104 2022. 8.20.흙날. 맑음 옥영경 2022-09-03 378
6103 2020.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0-10-09 379
6102 2020.11.16.달날. 맑음 / 나도 예쁜 거 좋아한다 옥영경 2020-12-16 379
6101 5월 빈들모임(5.28~30) 갈무리글 옥영경 2021-06-30 379
6100 2022. 2.19.흙날. 흐리다 늦은 오후 눈발 옥영경 2022-03-24 379
6099 2022. 2.20.해날. 눈을 지나 맑음 옥영경 2022-03-24 379
6098 2022. 3.15.불날. 맑음 옥영경 2022-04-05 379
6097 2022. 8.25.나무날. 가끔 비 / 못 키운 건 부모 잘못이나 그 시절에 대한 해석은 자식 몫 옥영경 2022-09-07 379
6096 5월 빈들 여는 날, 2023. 5.26.쇠날. 맑음 옥영경 2023-07-13 379
6095 2023. 6.14.물날. 맑다 소나기 옥영경 2023-07-21 379
6094 2020.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80
6093 2020. 7. 7.불날. 몇 방울 떨어지다 말다 옥영경 2020-08-13 380
6092 2021.11.11.나무날. 서울 맑음, 대해리 흐림 옥영경 2021-12-22 380
6091 2022. 7. 5.불날. 낮 4:25에 20분 반짝비, 자정에 반짝비 / 물꼬는 교육자들을 키워내는 허브? 옥영경 2022-07-28 380
6090 5월 빈들 닫는 날, 2023. 5.28.해날. 저녁 억수비 옥영경 2023-07-13 380
6089 2023. 6. 9.쇠날. 맑음 / 황궁다법 시연 옥영경 2023-07-20 380
6088 2021. 6.24.나무날. 흐림 / 측백 기념비 놓다 옥영경 2021-07-22 381
6087 2022. 3.19.흙날. 눈 내린 대해리 옥영경 2022-04-20 38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