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12.불날. 맑으나

조회 수 1278 추천 수 0 2008.03.07 17:06:00
2008. 2.12.불날. 맑으나


영하권입니다.
바람도 여간 세지 않습니다.
얼어붙은 천지는
마치 흐린 날이기라도 한 양 먹먹합니다.
이런 날은 꼭 ‘금관의 예수’가 떠오르지요.
기독교인이 아니었어도
금관이 아닌 가시면류관을 쓰고 맨발로 누추한 이들 곁에 했던 예수는
혁명을 꿈꾸던 그 시절의 모든 이들의 추앙이었습니다.
같은 제목의 김지하의 희곡 들머리에 나오던 시를
김민기가 곡을 붙였더랬지요.
우리는 얼어붙은(?) 거리에서
어깨 겯고 목이 터져라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과에 노래패 하나쯤은 다 있던 그 시절
과방에서가 아니어도
종로 뒷골목 막걸리집에서, 명동 앞골목 찻집에서
‘가투’란 게 끝나고 상승됐던 분위기가 가라앉고 나면
마지막은 웅얼거리듯 불렀더랍니다.

얼어붙은 저 하늘
얼어붙은 저 벌판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저 가난의 거리
어디서 왔나
얼굴 여윈 사람들
무얼 찾아 헤매이나
저 눈 저 메마른 손길

안되겠다 싶어 달골 달려가 온도 조절을 했지요.
창고동이 휑한 건물이다 보니
보일러가 얼지 않을까 늘 신경이 쓰입니다.
감기가 돌던 겨우내 까닥 없던 산골 아이도
날이 모지니 머리가 지끈거리나 봅니다.
오늘은 식구들이 모다 이른 저녁을 먹고
일찌감치 아랫목으로들 들어갔지요.

공동체식구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고 있는 안인경님이
다시 방문하셨습니다.
지낼 집도 둘러보고
서로 눈을 보고 물어야할 것들도 하나 하나 챙겼지요.
“말은 말이지요.”
그러게요,
말은 말이지요.
사는 일은 또 다른 것일 겝니다.
일단 같이 뒹굴어보자 하였지요.
간디의 말을 떠올리며 그를 보냈답니다.
“나는 내 집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이고 창문들이 닫히는 걸 원치 않는다. 나는 세상의 모든 문화가 내 집으로 최대한 자유로이 들어오길 바란다. 그러나 내가 쓸려 나가는 것은 거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626 2008. 7.14.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086
1625 2008. 7.13.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259
1624 2008. 7.12.흙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250
1623 2008. 7.10.나무날. 또 폭염 옥영경 2008-07-24 1400
1622 2008. 7.11.쇠날. 더위 쬐끔 누그러진 옥영경 2008-07-24 1133
1621 2008. 7. 8.불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252
1620 2008. 7. 9.물날. 폭염 며칠 째 옥영경 2008-07-24 1185
1619 2008. 7. 7.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140
1618 2008. 7. 6.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387
1617 2008. 7. 5.흙날. 폭염주의보 옥영경 2008-07-21 1186
1616 2008. 7. 3. 나무날. 아침비 옥영경 2008-07-21 1307
1615 2008. 7. 4.쇠날. 맑음, 무지 더울세 옥영경 2008-07-21 1266
1614 2008. 7. 2.물날. 갬 옥영경 2008-07-21 1339
1613 2008. 7. 1.불날. 흐림 옥영경 2008-07-21 1112
1612 2008. 6.30.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151
1611 2008. 6.28.흙날. 비, 억수비 옥영경 2008-07-11 1315
1610 2008. 6.29.해날. 가랑비 뒤 옥영경 2008-07-11 1502
1609 2008. 6.2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473
1608 2008. 6. 27.쇠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49
1607 2008. 6.24.불날. 볕 쨍쨍 옥영경 2008-07-11 11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