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19.불날. 맑음

조회 수 1227 추천 수 0 2008.03.08 14:15:00

2008. 2.19.불날. 맑음


오후 2시 군수님과 면담이 있었습니다.
군수님 편에선 접견인가요?
지난 해 말, 이 지역으로 이사를 들어온 이 가운데
공동체운동을 하는 지명도 높은 어르신 한 분이
물꼬와 비슷한 건으로 군수님을 찾아온 적이 있다 합니다.
생태 쪽으로 마인드를 바꾸어야 살아남는 줄 왜 모르느냐,
왜 군에서 아무것도 해주지 않느냐,
그의 항의도 있었던 모양이데요.
그와 견주어 들려주신 얘기는
앞으로 일을 어찌 해나가는 좋은 지침이 되어주었습니다.
군에서 어찌 다 저마다의 사정을 알겠느냐,
그리고 찾아가는 행정이 아니다,
이렇게 찾아와서 길을 찾고 해야지 않겠느냐,
자기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군만 발로 뛰라고 하면 누가 그걸 하겠느냐,...
격려이겠지요.
우리가 일을 시작할 땅은 좀 사 놨다,
자부담도 얼마쯤 할 수 있다,
이런 부분을 높이 평가해주셨습니다.
필요한 부서들을 연결할 테니
추진해나가면서 계속 상황을 살펴가자셨지요.
“이렇게 오고 또 오니 좀 알아듣겠잖습니까.”
그렇습니다.
우는 아이에게 젖 물리지 않던가요.
한 단체의 길이 아무리 옳아도
군 편에만 무엇을 요구한다면 말이 안 되지요.
상생!
그래요, 그런 길이 있을 겝니다.
한 쪽에만 희생을 강요하는 관계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마다요.
물꼬의 학교 살리기와 생태마을 추진 계획은
인구를 늘리려는 군 방향에서도 큰 득이 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겠지요.
이번에 제안한 사업이 얼마나 수용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늘 일을 하는 이들의 의지가 일의 절반이지요.
돕겠다고 나서셨고
물꼬 또한 의지가 크니 퍽 긍정적이겠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18 2010. 8.28.흙날. 비 좀 옥영경 2010-09-07 1231
4917 2010. 4.29.나무날. 새벽, 눈발 날리다 옥영경 2010-05-17 1231
4916 2009.10.17.흙날. 변덕 심한 하늘 / 산오름 옥영경 2009-11-04 1231
4915 133 계자 여는 날, 2009. 8. 9.해날. 회색구름 지나 오후 볕 옥영경 2009-08-14 1231
4914 2009. 5. 5.불날. 덥더니 저녁답 소나기 뿌리다 옥영경 2009-05-13 1231
4913 2008.12.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2-29 1231
4912 2008. 2.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31
4911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1
4910 2007. 3.1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231
4909 2005.12.26.달날.맑음 / 자리를 털고 옥영경 2005-12-26 1231
4908 8월 28일 해날, 달골 아이들 집 첫 삽 옥영경 2005-09-12 1231
4907 7월 4일 달날 끝없이 비 옥영경 2005-07-13 1231
4906 2016학년도 겨울, 163 계자(2017. 1. 3~8) 갈무리글 옥영경 2017-01-22 1230
4905 158계자 닷샛날, 2014. 8.14.나무날. 비 / 산오름 옥영경 2014-08-20 1230
4904 2012. 9.21.쇠날. 오후 잠시 흐림 옥영경 2012-10-16 1230
4903 5월 빈들모임(5/25~27) 갈무리글 옥영경 2012-06-02 1230
4902 2011.11. 8.불날. 입동, 안개 자욱한 아침 옥영경 2011-11-17 1230
4901 2011. 5.22.해날. 갬 옥영경 2011-06-04 1230
4900 2011. 5.20.쇠날. 맑다 오후 비 옥영경 2011-06-04 1230
4899 2011. 4.25.달날. 바람 바람 옥영경 2011-05-07 123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