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 6.흙날. 흐림

조회 수 1113 추천 수 0 2008.09.21 21:46:00

2008. 9. 6.흙날. 흐림


대문에서 큰 문짝 쪽은 늘 닫아둡니다.
특히 젖은 날은 드나드는 차들로 마당이 패여
일종의 차를 통제하는 방법이기도 하지요.
그게 아니어도 작은 문짝만으로 사람이 드나들기는 여유로우니
차가 오가는 일 아니면 닫아두게 됩니다.
밖에서 차를 타고 들어오다 보면
아이가 먼저 내려 대문을 열지요.
그런데 문을 바로 여는 법이 없습니다.
불빛 앞에서 혹은 운전차량 창 앞에서
한바탕 몸을 흔들지요.
공연이 따로 없습니다.
그건 또 늘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유쾌해집니다.
아이들은 그런 힘이 있지요,
모두가 우울한 순간에도 끌어올려놓는 힘.
기쁨조가 따로 없습니다.
아이랑 사는 날들이 고맙습니다.

주말이라고 비디오도 틉니다.
얼마 전 지역도서관에서 <미래소년 코난>을 빌려왔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고전이지요,
우리 세대라면 어린 날 텔레비전으로 봤을.
책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이제 만화까지 그렇습니다.
세대 공유 말입니다.
같은 책을 읽고 얘기를 나누고
같은 영화를 보고 의견을 주고받습니다.
만화도 그렇다는 거지요.
물론 전 코난을 어린 날에 본 기억이 없지만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름 때문에
오히려 그 시절 다 보낸 뒤 두어 편을 봤더랬습니다,
영화평론 쓰고 하던 무렵.
“서기 2008년 7월,
인류는 핵무기보다 더 강력한 초자력 무기로...”
아이가 코난의 첫 화면을 읊었습니다.
냉전이 전 세계를 양분하고 있던 그 시절에 그려지던 미래는
그런 모습이었던 모양입니다.
그래요, 그 해가 올해네요.
새삼스럽습니다.
자, 그렇다면 서기 2008년 지구는 정말 어떤 모습인가요.
아이랑 지구 구석구석 벌이지고 있는 일들을 입에 올려봅니다.
남한의 2008년 9월의 현 상황도
전쟁에 견줄 것은 아니지만 그리 희망적이지만은 않군요.
<코난>에서와 같은 미래는 아닐지라도 긍정적이지 않을 것 같은 미래를 놓고
지금은 또 어찌 살까, 물꼬는 뭘 해야 할까,
이제 아이가 커서 그런 얘기를 함께 합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자라고
이제 든든한 친구가 되고 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26 2013.12.12.나무날. 갰다가 다시 흐리며 눈비 옥영경 2013-12-27 686
1725 2013.10. 2.물날. 흩뿌리던 비 개고 옥영경 2013-10-25 686
1724 2015.10.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1 685
1723 2015. 9.30.물날. 맑음 옥영경 2015-10-17 685
1722 2015. 8.26.물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5-09-18 685
1721 2015. 8.22.흙날. 흐림 옥영경 2015-09-15 685
1720 2015. 6. 2.불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5
1719 2015. 5.27.물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5
1718 2015. 5.25.달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85
1717 2015. 5.15.쇠날. 흐림 옥영경 2015-07-01 685
1716 2015. 3.11.물날. 좀 수그러드는가, 바람 옥영경 2015-04-16 685
1715 2014.12.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12-27 685
1714 2023. 8.25.쇠날. 맑음 / 저 애는 무슨 낙으로 살까? 옥영경 2023-08-29 684
1713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84
1712 2015. 7. 6.달날. 무거운 하늘, 그리고 자정부터 내린 비 옥영경 2015-07-30 684
1711 2015. 5. 2.흙날. 맑음 옥영경 2015-06-08 684
1710 2014.12.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1-04 684
1709 2014. 9.16.불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84
1708 2014. 3.10.달날. 맑음 옥영경 2014-04-05 684
1707 2013. 8.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9-02 6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