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22.달날. 맑음

조회 수 1217 추천 수 0 2008.10.04 12:53:00

2008. 9.22.달날. 맑음


고구마밭을 갈아엎었습니다.
풀 무성했더랬지요.
밭이랑을 만들고
모종포드에 있던 배추 170포기 가운데 절반을 옮겨 심었습니다.
무밭도 들여다보았지요.
제법 올랐습니다.
그런데 두어 포기씩 쓰러져있습니다.
아무래도 수상합니다.
혹시 하여 땅을 파보았지요.
아니나 다를까 거기 벌레들 들었습니다.
그것들이 뿌리를 갉아먹었던 거지요.
어떤 약을 만들어볼까 궁리해봅니다.

낼부터 한 대학의 축제입니다.
마침 학술제의 부스 하나를 쓰게 되었지요.
거기서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을 하려합니다.
저녁답에 가서 자리를 확인하고
대충 어떻게 꾸릴까 그림을 그려보았지요.
그리고 돌아오는 길이었습니다.
어둑해오는데, 아이가 책을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
“얘야, 자네 눈 나빠지겄다.”
“엄마, 얘기 했잖아요.
어두운 데서 책을 보는 게 꼭 시력을 저하시키는 게 아니라니까요.
그런 연구결과가 있어요.”
“그렇지만 적당한 조명이 눈을 보호한다는 여러 이론들도 있잖아.”
“엄마, ‘大’ 반대편이 꼭 ‘小’는 아니야.
'中'일 수도 있고 '太'일 수도 있고.”
“태?”
“클 태! 몰라요?”
그러니까 눈을 보호한다는 것의 ‘반대’가
눈을 나쁘게 한다는 건 아니라는 거지요.
과학적인 근거는 모르겠지만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겠습니다.
‘이게 그렇다’는 것의 반대편이 꼭 ‘그게 그렇지 않다’는 말은 아니지요.
아이가 오늘 가르쳐주었답니다.
말이 좀 어려웠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14 2007. 1.2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2-03 1218
4813 2006. 9.12.불날. 흐림 옥영경 2006-09-19 1218
4812 2006.1.1.해날.맑음 / 계자 샘들미리모임 옥영경 2006-01-02 1218
4811 2013 여름 청소년계자(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3-07-28 1217
4810 152 계자 닷샛날, 2012. 8. 2.나무날. 흐리다 갠 뒤 소나기, 그리고 휘영청 달 옥영경 2012-08-04 1217
4809 2011.10.11.불날. 띄엄띄엄 안개, 그래도 보름달이 옥영경 2011-10-21 1217
4808 142 계자 사흗날, 2011. 1.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01-09 1217
4807 131 계자 여는 날, 2009. 7.26.해날. 바짝 마른 날은 아니나 옥영경 2009-07-31 1217
4806 2009. 1.30.쇠날. 비 옥영경 2009-02-06 1217
4805 2008.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17
4804 8월 26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217
4803 2011. 6. 6.달날. 맑음 / 단식 1일째 옥영경 2011-06-14 1216
4802 8월 31일 물날 흐리다 비도 몇 방울 옥영경 2005-09-12 1216
4801 7월 6일 물날 장마 가운데 볕 옥영경 2005-07-16 1216
4800 2019. 1.31.나무날. 맑음 / 돌아오고 얼마쯤 뒤 옥영경 2019-02-03 1215
4799 2012. 3.29.나무날. 상쾌한 바람 뒤 저녁 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15
4798 2011. 7. 9.흙날. 대해리도 창대비 옥영경 2011-07-18 1215
4797 2011. 7. 2.흙날. 흐림 옥영경 2011-07-11 1215
4796 2008.11. 3.달날. 바람 불고 하늘은 자주 흐릿하고 옥영경 2008-11-14 1215
4795 2005.11.21.달날.흐리다 진눈깨비 / '나눔'이 '있다'고 되던가 옥영경 2005-11-23 12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