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0. 1. 물날. 맑음

조회 수 1320 추천 수 0 2008.10.10 18:28:00

2008.10. 1. 물날. 맑음


“어, 따뜻해!”
아이가 호박에 손을 댔다가
그걸 다시 꼬옥 껴안았습니다.
어제 무밭으로 내려가는 밭둑에서 늙은 호박 하나 땄습니다.
그리고 나절가웃을 볕에 내놨더랬지요.
겨울에 아이들 오면 죽으로 밥상에 얹힐 호박입니다.
그런데 가마솥방에 들여놓은 호박에 아직 볕기가 남아있었습니다.
쌀쌀한 아침에 말입니다.
다사로웠습니다.
볕이 머물다 간 자리입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마음 또한 다사로워졌습니다.
고마울 일들입니다.
고추에도 깨에도 나락에도
고솜한 볕내음이 닿아서야 비로소 살이 된다 싶습디다.

모종을 낼 때 포트에 종자를 꼭 세 알은 넣습니다,
넘들은 또 어쩌나 모르겠습니다만.
쉬 썩어버릴 수도 있어 그러하고,
셋 다 무사히 자란다면 더할 나위 없지요.
사람과 날짐승과 들짐승이 하나씩 나눠 먹을 테니까요.
그걸 또 옮겨 심을 때도 굳이 따로 떼서 심지 않았습니다.
두어 개 쓰러져도 살아남을 놈이 있겠다는 바램이고
웬만큼 자라 비좁으면 솎아서 나물해먹으면 될 일이지요.
그게 그리 금새 커버렸네요,
곁엣 것들을 뽑아줘야 할 만치.
오늘은 그 배추로 겉절이를 해먹는 점심밥상이었습니다.

국군의 날입니다.
그들의 애씀에야 무슨 이의를 달 수 있을까요,
늘 문제는 전쟁이지요.
전쟁이라면 자주 아이들과 공부거리가 됩니다.
역사과목을 다룰 때도 그러하지만
늘상 다툼이 있는 인간사이고 보면
과목을 넘어 우리들 대화에 자주 등장하지요.
전쟁을 잘 다룬 작품이라면
레마르크의 <서부전선 이상 없다>만한 게 있을지요.
아직 아이들이 읽기엔 이르다 싶으니
조만간 영화를 틀어야겠습니다.
젊은이들이 스러져가지요,
무차별한 전쟁의 포화 속에서 인간의 존재란 얼마나 덧없는지요.
군복을 뒤집어 잡은 이를 호롱불에 넣으니 지지거립니다.
그처럼 최후에 살아남은 주인공은 1918년 가을의 어느 고요한 날에 전사하지요.
하지만 별 변화도 없는 그날의 전황에 사령부는 이리 기록합니다.
“서부전선 이상 없다.”
누군가의 생명이 어떠한 의미도 내포되어있지 않다는 것은 잔혹한 이야기이다,
이 글을 읽은 이라면 열외 없이 그리 말했지요.
속-절-없-다....
어디 바람에 날리우는 꽃잎에만 그리 말하던가요.
행진하는 군인들은 그래서 서글프며
휴가 나온 군인은 그래서 늘 짠하다 싶습니다.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Long time passing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Long time ago
Where have all the flowers gone?

그런 노래가 있었지요.
꽃들은 다 어디로 간 걸까요, 어린 처자들이 꺾어갔지요.
그 어린 처자들은 또 어디로 갔을까요?

Gone to young men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young men gone?
Gone to soldiers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re have all the soldiers gone
Gone to grave-yards everyone

처자들이 따라간, 예전에 청년이었던 그들은 또 어디로 간 걸까요?
그 청년들은 군인이 되었고 군인들은 모두 무덤으로 갔다던가요.

Where have all the grave-yards gone
Gone to flowers everyone
When will they ever learn?
When will they ever learn?

무덤들은 모두 만발한 꽃들로 뒤덮히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26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202
6625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81
6624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64
6623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350
6622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321
6621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613
6620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239
6619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914
6618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63
6617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72
6616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251
6615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417
6614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81
6613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2001
6612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732
6611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77
6610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642
6609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437
6608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853
6607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1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