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조회 수 1295 추천 수 0 2008.12.06 16:53:00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장애인생활시설에 다녀왔습니다.
사람들 속에 묻혀 아이랑 공주의 ‘명주원’을 갔지요.
정신지체장애인들이 160여명 생활하고 있는 곳입니다.
‘성아퍼’씨도 여기에 삽니다.
처음 이곳을 와서 손만 되면 아퍼 아퍼했다지요.
그래서 이름이 성아퍼가 되었습니다.
‘성둥보’씨도 있습니다.
성이 없으니 성이 성이 되었고
뚱뚱하여 뚱보 뚱보하다 이름이 둥보가 되었다지요.

그들을 보살피는 식구들 수도 만만찮겠지요.
그곳은 자원봉사자를 안내하는 팀이 따로 있어
박은아샘의 안내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기초생활을 하는 방도 보고
결혼한 가정도 방문했으며
교육재활 사회심리재활 의료재활 과정도 들여다보았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할 수 있는 일도 많았지요.
목욕을 돕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밥하는 일이 젤 손이 많이 필요하겠습니다.
빨래방을 보고는 으악 싶데요.
세탁기가 여러 대 있었지만
봄가을이면 큰 대야에 발로 밟아 빨아야할 이불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 곳에서 교육도 지원하고 있었고
정서지원활동들도 많았으며 의료지원도 말할 것 없었지요.

이곳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기도 합니다.
식구들이 일하고 있는 현장도 들여다보았습니다.
종이가방을 만드는 곳에선
흘러간 노래를 멋들어지게 부르는 아저씨가 우리를 불러 세웠고,
또 누구는 자신이 얼마나 빨리 일을 잘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도 했지요.
제과 제빵사업을 하는 ‘효동ㆍ덕자 베이커리’도 기웃거렸습니다.
마침 중학교를 나와 자격증을 땄다는 농청년이 빵을 굽고 있었습니다.
천연비누를 만드는 곳에선
한 도움샘이 말리던 국화꽃을 뒤집어주고 있었지요.

그곳 베이커리에서 산 따끈따끈한 빵을
돌아오는 길에 금강을 바라보며 먹었습니다.
지체장애인들이 어찌 살아가고 있는가,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찾으러 간 거였지요.
당장 주머니를 털자 싶지만
오고나면 또 슬슬 게을러지는 마음입니다.
그래서 눈에 뵈지 않으면 사랑도 식는다던가요.
아이랑 우리는 무엇을 할까 의논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26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215
6625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92
6624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75
6623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361
6622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331
6621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620
6620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245
6619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919
6618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68
6617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74
6616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262
6615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423
6614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86
6613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2007
6612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738
6611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90
6610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645
6609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442
6608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858
6607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11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