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8.나무날. 맑음

조회 수 1242 추천 수 0 2008.12.29 03:14:00

2008.12.18.나무날. 맑음


방아를 찧었습니다.
햅쌀로 찧는 두 번째입니다.
정미기가 문제가 생겨
지난 여름 막바지는 면소재지 나가서 찧던 쌀입니다.
그런데 햅쌀 거두고
종대샘이 정미기를 뜯어 이 곳 저 곳 털고 닦고 했더니
잘만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청소가 잘 안돼서...”
물건을 잘 쓰는 법의 첫째는 역시 쓰고 닦아두는 것이겠습니다.

덜커덩 방아나 찧어, 히여
거친 밥이나 찧어, 히여
아버님 어머님께 드리옵고, 히야해
남기시면 내 먹으리, 히야해
(방아노래)

기계로 돌리는 것이긴 하나
내 집에서 하는 방아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같은 느낌이 묻어나는 것만 같습니다.
참새가 지나치지 않는 그 방앗간,
사랑이 일던 바로 그 물레방앗간,
물푸레마을 외딴집 연자방아를 돌리던 그림책도 떠오르고...

방아 방아 물방아야
쿵쿵 찧는 물방아야
네 힘이 장하구나
네 힘이 장하구나

덜덜거리며 껍질을 벗겨내는 정미기 앞에서
기억은 풀풀 어린 날로 넘어갑니다.
반듯하게 누워 다리를 굽히고
정강이에 아이를 앉혀 들었다 놓았다 하며 부르던 노래,
어느 가정이고 그렇게 아이방아찧기를 했을 것입니다.
제 어릴 적도 어르신들이 그러하셨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그러하였지요.
아이는 기억을 하려나요?
강원도 산골 어드메 아직 디딜방아를 찧는 곳이 있다하였는데
아이랑 길 한 번 떠나지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766 2008.12. 4.나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8-12-26 1187
1765 2008.12. 3.물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40
1764 2008.12. 2.불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98
1763 2008.11.30.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44
1762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316
1761 2008.11.29.흙날. 눈 펑펑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8-12-21 1311
1760 2008.11.28.쇠날. 푹한 / 김장 첫날 옥영경 2008-12-21 1480
1759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304
1758 2008.11.26.물날. 갬 옥영경 2008-12-10 1429
1757 2008.11.25.불날. 흐림 옥영경 2008-12-09 1405
1756 2008.11.24.달날. 비 옥영경 2008-12-08 1315
1755 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08-12-06 1397
1754 2008.11.21.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06 1211
1753 2008.11.22.흙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08-12-06 1449
1752 2008.11.19.물날. 맑으나 매워지는 날씨 옥영경 2008-12-06 1372
1751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옥영경 2008-12-06 1296
1750 2008.11.18.불날. 낮 잠깐 흩날리던 눈, 초저녁 펑펑 옥영경 2008-12-06 1192
1749 2008.11.17.달날. 흐림 옥영경 2008-12-06 1130
1748 2008.11.14-16.쇠-해날. 더러 흐리고 바람 불고 / ‘빈들’ 모임 옥영경 2008-11-24 1500
1747 2008.11.1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1-24 117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