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24.흙날. 눈발

조회 수 1332 추천 수 0 2009.02.05 00:05:00

2009. 1.24.흙날. 눈발


오후에 잠시 주춤하던 눈은 밤새 도둑눈이 되더니
다시 아침을 잇고 있습니다.
소사아저씨는 부산으로 설을 쇠러 떠나고
물꼬에는 하다네 식구들만 달랑 남았습니다.
내일이면 설을 쇠러 종대샘이며 소정샘이 들어올 테지요.
멀리 대구의 논두렁 김수상샘이며 오랜 인연들,
그리고 IYC로 다녀갔던 이주욱샘이며 새로 맺었던 인연들이
두루 설 인사를 전해옵니다.

마치 계자가 이제야 끝난 느낌입니다.
산골 들어와 크게 아쉬운 것이 있다면 극장과 책방이 멀다는 거였지요.
오늘은 영화들을 좀 챙겨서 봅니다,
밤을 꼴딱 새우며 봅니다.

그 가운데 하나, <경축! 우리 사랑>.
발칙하고 발랄하고 유쾌하고 그리고 따스했던 영화였습니다.
하숙집 딸과 가난한 하숙생의 그렇고 그런 이야기로 시작해서
여느 하숙집 출현 스토리처럼 남자가 아니라 여자가 떠나고
떠난 딸로 가슴 아파하는 하숙생을 위로하다 그를 사랑해버린
온 집안을 이고지고 가는 중년 아줌마의 이야기입니다.
“나는 네가 좋아.”
아줌마만?
아니 청년도, 한 때 아줌마의 딸과 결혼을 하겠다던, 아줌마를 사랑하지요.
“저도 봉순씨가 좋아요.”
거기다 그들 사이에 아이까지 태어나지요.
그러나 그들은 야반도주하지 않고 마을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46 2005.12.28.물날.맑음 / 할아버지의 봄맞이처럼 옥영경 2005-12-29 1250
1645 2007. 4.26.나무날. 봄날 같은 봄날 옥영경 2007-05-14 1250
1644 2007. 6.12.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6 1250
1643 2008. 4. 7. 달날. 흐림 옥영경 2008-04-20 1250
1642 2008. 7.12.흙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250
1641 2011.12.26.달날. 맑음 옥영경 2012-01-03 1250
1640 2005.10.13.나무날. 달빛 고운 옥영경 2005-10-15 1251
1639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51
1638 2007. 3.2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51
1637 2007. 9. 3.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7-09-23 1251
1636 2007.10.12.쇠날. 쬐끔 흐리네요 옥영경 2007-10-17 1251
1635 2008. 6.15.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51
1634 4월 몽당계자(130 계자) 여는 날, 2009. 4.10.쇠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251
1633 6월 15일 물날 오후 비 옥영경 2005-06-19 1252
1632 108 계자 열 이튿날, 2006.1.13.쇠날. 가랑비 옥영경 2006-01-15 1252
1631 2006.4.30-5.4.해-나무날 / 자율학교였단다 옥영경 2006-05-09 1252
1630 2006.5.9.불날. 흐릿 옥영경 2006-05-11 1252
1629 2007. 4.1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24 1252
1628 2007. 9. 1.흙날. 구멍 뚫린 하늘 옥영경 2007-09-23 1252
1627 2008. 4.17.나무날. 빗방울 오다가다 옥영경 2008-05-04 125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