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2. 5.나무날. 맑음

조회 수 1248 추천 수 0 2009.02.13 19:45:00

2009. 2. 5.나무날. 맑음


봄이 왔고, 닭이 알을 낳았습니다.
네, 봄입니다.
겨우내 하나도 나오지 않던 알이
어제 오늘 하나씩 나오고 있습니다.
봄은 닭장으로 먼저 옵니다요!

마당 한켠에 오며가며 끌고 왔던 땔나무가
아무렇게나 엉켜있었습니다.
처음 운전한 경운기가 낸 사고가 있던 날의 나무도 있고
마을 뒤쪽 저수지를 다녀오며 끌고 왔던 나무도 있고
밭가에서 베어낸 나무도 있었지요.
소사아저씨가 날마다 조금씩 정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기계를 잘 다룰 줄 모르는 그가 쥔 것은
손으로 움직이는 톱이었습니다.
도구를 잘 쓰는 이라면
엔진톱 한 번에 끝났을 일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삼촌은 그저 날마다 조금씩
잔가지는 손으로 잘라내고 굵은 것은 톱으로 잘랐습니다.
조금씩 조금씩 했던 그 일,
마침내 오늘 마당에 훤해졌지요.
경이로웠습니다.
나무 몇 가닥을 끌고 산을 내려오는 송씨아줌마를 몇 번 보았습니다.
정말 몇 가지 되잖은 걸
한 다발로 묶어 질질 끌고 있었지요.
그런데 어느날 그 댁 앞에는
나뭇짐이 그 댁 아래채만큼 쌓였습니다.
경운기로 트럭으로 오가는 땔감 양으로는 몇 번 되지 않을 치지만
결국 아줌마는 그런 것 동원하지 않고도 해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 ‘날마다 조금씩’에 놀랐지요.
오늘 환해진 마당 또한 그러했던 것입니다.

재봉질을 좀 합니다.
크게 뭘 만들어내거나 한 건 아니고
그저 앞치마 몇 개 손보았습니다.
앞치마엔 허리에 묶는 끈처럼
등에도 열고 닫는 끈이 있지요.
아예 한 덩어리로 붙어진 것도 있지만
입고 벗기 편하게 찍찍이를 단 것들도 있습니다.
오래 썼던 앞치마들은 그 찍찍이가 흐물거려
일하는 가운데도 몇 차례나 떨어지고는 하여
그걸 또 옷핀으로 고정해서 쓰기도 하지요.
그런데 일을 하다보면 아주 작은 것 한 가지가
전체 일을 자꾸 걸리적거리게 하고는 합니다,
마치 자꾸 떨어져 신경쓰이는 앞치마 등끈처럼 말입니다.
오늘 그것들을 하나로 붙였습니다.
그런 간단한 조치가
일을 전반적으로 편하게 대하도록 한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25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36
1724 12월 25일,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둘 옥영경 2005-01-02 1237
1723 2007. 8.31.쇠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7
1722 2011. 5. 7.흙날. 흐리고 빗방울 지나다 맑음 옥영경 2011-05-20 1237
1721 2011.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9-10 1237
1720 2011.10.31.달날. 맑음 옥영경 2011-11-11 1237
1719 2012. 2.15.물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37
1718 2012. 3.12.달날. 꽃샘추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37
1717 5월 22일 해날 아주 잠깐 저녁 비 옥영경 2005-05-27 1238
1716 6월 13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5-06-17 1238
1715 2007. 4.16.달날. 비 옥영경 2007-04-27 1238
1714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8
1713 2008. 6. 4. 물날. 빗방울 간간이 옥영경 2008-06-23 1238
1712 2008. 6.25.물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38
1711 2011. 5.20.쇠날. 맑다 오후 비 옥영경 2011-06-04 1238
1710 2011. 6.25.흙날. 비 옥영경 2011-07-11 1238
1709 147 계자 닫는 날, 2011.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11-09-06 1238
1708 2012. 3. 5.달날. 경칩에 종일 비 옥영경 2012-04-06 1238
1707 2월 9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2-16 1239
1706 3월 19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3-21 123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