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27.물날. 싸락눈

조회 수 908 추천 수 0 2010.02.13 13:00:00

2010. 1.27.물날. 싸락눈


싸락눈 내리더니
읍내로 나가서는 비가 되었습니다.

새해 첫 생명평화모임이 있은 저녁입니다.
정봉수님, 이영현님, 최아선님, 류기락님, 류옥하다가 함께 했습니다.
겨울은 농부들에겐 내적 욕구를 채우는 좋은 시간들이 됩니다.
지난 한 달을 돌아보는 거울보기,
눈이 많으니 사람들이 회관으로 모이게 되고
그래서 서로 머리 맞대는 시간이 많더라는 정봉수님,
몸과 마음에 집중하게 된다는 최아선님과 이영현님,
거기에 하다는 긍정적인 사고에 관한 영상물을 본 얘기를 전하며
‘생각’의 중요함을 역설했지요.

오늘의 발제는 기락샘-‘문화자본의 사회화’.
교육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요.
예전 수능이나 학력고사 시절
그 성적에 따라 지원하고 거기에 따라 순위 매겨지던 질서를
교육의 다양성을 도입하여 바꿔보자는 게 최근의 방향입니다.
다양한 경험을 주자, 인문학적 소양을 길러주자는 것인데
그러나 뜻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문제제기가 나오고 있지요.
개천에서 용(일명 ‘개룡’이라는)나는 일이 더 없어질 수도 있다 합니다.
왜냐하면 좋은 부모를 만난 아이들이
새로운 교육제도에서 성공할 잠재력을 훨씬 더 잘 획득할 수 있다는 거지요.
문화자본(아비투스라고 하는 게 이거 아니던가요)획득을 통한 교육성취 또한
높을 수 있다는 겁니다.
거기다가 봉사활동, 자기소개서, 추천서등을 통한 입학사정관제만 하더라도
문화자본을 획득한 아이들이 유리한 제도라는 데 이견이 없습니다.
이쯤되면 다시
그 방향이 정말 맞는 것일까 의구심을 자아낼 테지요.
삶의 질을 높이자는 게
개룡이 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건 아닐 것이니 말입니다.
결국 좋은 의도가 역효과를 생산하는 결과를 낳는 거지요.
그렇다면, 문화자본획득 방법을
사회가 제공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지 않겠는지요.
국가나 지역수준에서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엘시스템화라 불리는 베네주엘라 빈민지역음악교육이
좋은 예일 수 있겠다는 결론이었답니다.

날마다의 기적을 체험하며 산다,
늘 그리 말하지요.
오늘 또한 그러하였습니다.
우리 가족이 다 타고 있었더랬지요.
달골 오를 걱정만 했지 별 생각 없이 읍내에서 돌아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황간으로 오다 물한계곡 길로 넘어오는 신우재 들머리
그만 살짝 언 얼음길 위를 차가 팽그르르 돌기 시작했지요.
다른 때라면 아는 길이라고 제법 밟고 다니는 길을
무슨 마음에 천천히 달렸던지요,
며칠 전 눈길에서 차가 미끄러질 적 어찌 하라던 벗의 이야기가
어쩜 그 순간 뚜렷하게 생각이 났더란 말인지요,
생각이 난다고 몸이 다 움직여지는 것도 아닌데
용케 몸이 또 그리 따라주었더란 말인가요...
일부러 가드레일 쪽으로 차를 밀고 부딪치며 균형을 잡아나갔습니다.
그게 또 너무 갑작스러웠다면 그 너머 수로로 떨어져 내렸을 것을,
게다 그때 다른 차라도 오갔으면 또 어땠을 것인지...
차 앞부분이 좀 많이 망가졌습니다.
다행히 움직이기는 하여
어찌 어찌 대해리까지 끌고 들어왔지요.
낼 공업사에 넣으면 며칠이나 걸릴려는지...
고마운 또 하루였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2186 2010. 1.2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02-13 908
» 2010. 1.27.물날. 싸락눈 옥영경 2010-02-13 908
2184 2010. 1.26.불날. 맑음 옥영경 2010-02-13 919
2183 2010. 1.25.달날. 맑음 옥영경 2010-02-13 910
2182 1.22.쇠날~ 1.24.해날. 맑음 / ‘발해 1300호’ 추모제 옥영경 2010-02-02 933
2181 2010. 1.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977
2180 2010. 1.20.물날. 비 옥영경 2010-02-02 912
2179 2010. 1.19.불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872
2178 2010. 1.18.달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855
2177 2010. 1.17.해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937
2176 2010. 1.16.흙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997
2175 136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10-01-22 1138
2174 136 계자 닫는 날, 2010. 1.15.쇠날. 맑음 옥영경 2010-01-22 1035
2173 136 계자 닷샛날, 2010. 1.14.나무날. 이른 아침 잠깐 눈 다녀가고, 아주 가끔 해가 가리기도 옥영경 2010-01-22 1141
2172 136 계자 나흗날, 2010. 1.13.물날. 맑음 옥영경 2010-01-20 1005
2171 136 계자 사흗날, 2010. 1.12.불날. 아침에 밤에 눈싸라기 옥영경 2010-01-20 1330
2170 136 계자 이튿날, 2010. 1.11.달날. 흐림 옥영경 2010-01-17 1337
2169 136 계자 여는 날, 2010. 1.10.해날. 맑음 옥영경 2010-01-14 983
2168 2010. 1.9.흙날. 맑음 / 13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0-01-14 1003
2167 135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10-01-13 105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