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계자를 끝내고 하룻밤을 더 묵은 7학년들이

늦은 아침이자 이른 점심을 먹고 떠났습니다.

치열하게 살다가 보자 했습니다.

아이로 오는 마지막 계자들.

떠나는 낮 버스에 오르기 전, 계자에서 새끼일꾼 자리는 몇이냐 묻기

5명으로 제한한다 했더니

그러면 세 명이 잘리는 거네요, 합니다.

맞습니다. 그러나 아니지요.

새끼일꾼에 어디 8학년만 있는지요.

9학년부터 12학년도 이미 많은 숫자입니다.

기회를 주려고 하겠지만, 쉽지는 않을 겝니다.

물꼬 편에선 전체 일을 잘 꾸려가기 위한 것도 필요하니,

때로 품앗이일꾼들이 많이 붙지 못할 땐 고교생들 중심으로 꾸릴 수도 있으니,

하여 오래 보지 못할 수도 있겠기에 마음이 더 쓰였던 학년들입니다.

하룻밤이 그래서 물꼬 편에선 저들만큼이나 또 귀했더라지요.

그 사이에도 부모님들 가운데는

이곳 사정을 헤아려 따로 후원회비를 보내기도 하셨습니다,

밥 더 멕이는 품을 헤아려주시며.

그런 부모님들 밑에서 자란 아이들이니 그네들 마음씀이 또한 어떨지

짐작되고도 남다마다요.

고맙습니다.

 

긴 시간을 본 아이들이고,

그래서 사랑스럽기 또한 그만큼 깊은 아이들이나

작은 아쉬움도 있었습니다.

하룻밤을 더 머물고 가려는 샘 대신

다른 새끼일꾼으로 대체해주면 아니 되냐 물어왔지요.

자신들의 재미를 위해 타인에게 그런 요구까지 하는 것에 불편했습니다.

우리가 즐겁기 위해서 타인을 마음 상하게 하는 것,

혹여 끼리끼리, 혹은 또 하나의 패거리를 만들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그런 마음.

그러나, 우리 아이들의 건강함을 믿습니다,

그저 들뜬 마음이 컸던 까닭임을.

 

하루를 더 머문 몇 샘들도 떠났습니다.

보육시설에서 자란 아이들이 어느새 품앗이일꾼이 되어 왔습니다.

고맙습니다.

‘알 것이냐, 이 짠한 마음과 기특한 이 마음을...’

잘 자라주었습니다.

그렇게 키워준 시설에도 고맙습니다.

떠나기 전 교무실에서

한 사람 한 사람 잠깐 다짐과 결의가 있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시집장가가고, 아이 낳고 키우는 세월에도

물꼬가 함께 할 수 있기를.

 

소사아저씨는 난장판이 된 어른공부방을 보며

허물 벗듯 몸만 빠져나간 뒷자리를 씁쓸하게 바라보셨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아니라 정작 어른들이 하루 입고 벗어둔 옷방을 나온 옷들이

흙집 안 세탁바구니에 산더미처럼 쌓인 걸 보십니다.

묻노니, 정녕 교육이 무엇이더란 말인가요.

철욱샘은 남겨진 본관 청소를,

아리샘은 수북이 쌓여있는 빨래를 돌렸습니다.

지난 여름도 산을 다녀와 마음 그리 쓴 그이입니다.

겨울 일정을 마친 샘들을 위해 위문 오는 준샘을 만나고 가련 마음도 컸지만

해지기 전까지 그렇게 움직이고 떠났지요.

남겨진 이들에 대한 배려와 살핌, 애정,

고맙습니다.

 

선정샘 가족은 하루 더 머물다 가기로 했습니다.

한동안 여기서 있을 초등 1년 성빈이를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이러저러 살필 것들이 남은 까닭도 있었을 겝니다.

양념통들도 정리하고,

앞치마까지 죄 빨아 너셨지요.

아, 어느 누가 그리할 것인가요.

 

오후엔 철기샘이 이곳 식구들을 실어 읍내 나갔습니다.

보름의 계자동안 밥바라지를 한 선정샘은

막판에 손목에 파스를 붙이고 움직였지요.

학기 가운데 2박3일의 짧은 모임도 규모 겨우 스물 안팎인데도

끝내고 나면 손목 시리고 허리 빠질 것 같습니다.

얼마나 애를 쓰셨을 것인가요.

그의 놀라움은, 단 한순간도 ‘내가 도와줬음네’ 하는 표를 내지 않음입니다.

그의 겸손에서, 그의 강인함에서, 또 배웁니다.

 

선정샘이며 목욕탕들을 갈 동안 세현이랑 놀았습니다.

누가 뭐래도 계자 기간 이 혹독한 겨울 속에서 가장 애를 쓴 이는

바로 세 살배기 안세현입니다.

아이들에게 늘 ‘낼모레 예순’이라 소개하는데,

정말 할머니가 된 것 같습니다.

업고 재우고 같이 자고 씻기고 밥을 먹이고 손톱을 깎아주고...

손주 보는 기분이었지요.

이 아이도 계자 구성원이 되고 새끼일꾼이 되고 품앗이일꾼이 되리라, 합니다.

 

세월이 고맙습니다.

물꼬에서 살아가는 날들이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2926 2012. 1.16.달날.흐림. 산 저 높은 곳 눈싸라기 옥영경 2012-01-27 1148
2925 2012. 1.15.해날. 맑음 옥영경 2012-01-27 1132
» 2012. 1.14.흙날. 맑음 / 7학년들 가다 옥영경 2012-01-27 1093
2923 150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20 1795
2922 150 계자 닫는 날, 2012. 1.13.쇠날 눈발 날리더니 그쳤네 옥영경 2012-01-20 1130
2921 150 계자 닷샛날, 2012. 1.12.나무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12-01-20 1159
2920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42
2919 150 계자 사흗날, 2012. 1.10.불날. 갬 옥영경 2012-01-18 1179
2918 150 계자 이튿날, 2012. 1. 9.달날. 눈 내릴 것 같은 아침, 흐린 밤하늘 옥영경 2012-01-17 1331
2917 150 계자 여는 날, 2012. 1. 8.해날. 맑음 옥영경 2012-01-16 1099
2916 2012. 1. 7.흙날. 맑음 / 150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1-15 1221
2915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41
2914 149 계자 닫는 날, 2012. 1. 6.쇠날. 눈 옥영경 2012-01-13 1181
2913 149 계자 닷샛날, 2012. 1. 5.나무날. 맑음 / 울렁산 옥영경 2012-01-11 1030
2912 149 계자 나흗날, 2012. 1. 4.물날, 눈, 눈 옥영경 2012-01-09 1150
2911 149 계자 사흗날, 2012. 1. 3.불날. 흐리다 갬 옥영경 2012-01-08 1127
2910 149 계자 이튿날, 2012. 1. 2.달날. 해 옥영경 2012-01-05 1066
2909 149 계자 여는 날, 2012. 1. 1.해날. 눈 옥영경 2012-01-04 1141
2908 2011.12.31.흙날. 맑음 / 149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1-03 1275
2907 2011.12.30.쇠날. 맑음 옥영경 2012-01-03 100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