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고추를 말리고 있습니다.

날이 물기 많으니 고추장집 방 하나를 고추 건조장 삼아

불을 때고 있습니다.

볕이 보이면 내다 널고.

학교 등 뒤 댓마에서도 밤새 고추건조기 돌아가는 소리가 건너옵니다.

 

“이생진 선생님한테서 뭐가 왔어요!”

우두두두두,

집안일로 풀이 많이 죽어지내던 아이가 오랜만에 복도를 뛰어오는 소리.

선생님은 아이에게도

선생님과 동행한 여행 뒤로 아주 각별한 분 되셨지요.

“나이 많은 할아버지라 어렵고 심심할 것 같았는데...”

정말 젊으시고 유머감각 있으셔서 즐거웠다지요.

예, 시인 이생진 선생님이 시집 한 권 보내오셨습니다.

제 가진 선생님의 시집 한 권을

다른 이에게 건넨 것 보시고 챙겨보내주신 것입니다.

당신이야말로 삶으로 시를 쓰십니다.

시는 부지런한 자의 문학임을 늘 다시 생각게 하시지요.

선정샘이 교무실에서 필요한 문구도 몇 보내왔습니다.

고맙습니다.

 

금강 54km를 흘렀습니다.

백제보 아래 백마강 가에 차를 대고 카약에 올랐지요.

물은 불어날 대로 불어나있었고

여러 날의 비에 이미 많은 것들이 떠나려갔으며

이제 물만, 물만 넘치고 있었습니다.

비 계속 내리는 속에 강도 텅 비었고,

강둑 도로들까지 인적 드물었습니다.

전국이 다 창대비로 뒤덮인다는데 강 위 작은 카약에 그리 몸을 실었습니다.

이건 죽자고 하는 짓이라 의심이 들만큼 그렇게 노를 저었지요.

작은 일에 목숨 걸 듯할 때가 있습니다.

‘나’를 거는 거지요.

그렇게 자신을 밀어보는 겁니다.

그렇게 자신을 내몰아 주어얄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생을 밀고 가는 거지요.

어쩌면 극한의 운동들도 그런 게 아닐까 싶은.

머리 위로 부여대교를 보내고 멀리 강경읍을 지나

다시 황산대교 아래를 흘러 몇 개의 섬을 지납니다.

옷은 어느새 다 젖고,

추위가 엄습하고,

그러나 노를 젓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않습니다.

밀려드는 생각을 끊임없이 물에 밀어넣고.

물의 수면에서 보는 사물은 사람을 더욱 겸손케 하지요.

청포리와 용두리가 마주보는 어디깨였던가요,

배를 대고 텐트를 칩니다,

너른 강과 넓은 들 경계에 점으로 달랑 얹힌.

어느새 짙은 어둠에 정말 우주에 홀로 서 있었습니다.

이미 넘칠 것 같은 강은

다시 상류에서 방류한 물로 수면이 올라가고

거기 또 비까지 빠지고 있었습니다.

자는 잠에 물에 휩쓸려갈지도 모른다는 생각 잠깐.

생이 고달플 때 어쩌면 우리는 누구나 그런 꿈을 꾸는지도.

 

물이 곁에 찰랑이는 아침,

마치 홍수로 세상이 다 잠긴 듯한.

다시 노를 젓습니다.

어쩌자고 그 물 위를 한낱 나뭇잎마냥 떠가려했던 걸까요.

다행히 비가 잘 피해주었습니다.

웅포대교를 지나고 금강대교를 지나며 멀리 금강하구둑 보입니다.

죽자고 한 일이 아니나, ‘산’ 거지요.

그런데 왼쪽으로 군산과 오른쪽으로 서천이 마주하고 있는 거기,

어느 쪽으로도 배를 올릴 수 있는 곳이 보이지 않아 한참 맴을 돕니다.

서천 조류생태전시관으로 어찌 어찌 배를 대고

부여로 돌아오는 길 무지개가 반겼더랬네요.

라디오에선 곳곳에 떤 무지개 소식을 전하고.

삶도 그런 환희이길.

백마강가에서 차는 황혼을 이고 있었습니다.

외로움이 꼭 처연한 것만은 아닙니다.

저리 황홀한 아름다움일 때도 있는 거지요.

살아있어 보기!

 

처서, 모기 입은 돌아갔는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126 2012. 8.24.쇠날. 비 옥영경 2012-09-11 909
» 2012. 8.22-23. 물-나무날. 비 오락가락, 그리고 찬 공기 옥영경 2012-09-11 988
3124 2012. 8.21.불날. 흐리고 가끔 빗방울 옥영경 2012-09-11 872
3123 2012. 8.20. 달날. 비 많은 아침 옥영경 2012-09-11 875
3122 2012. 8.19.해날. 종일 흐림 옥영경 2012-09-10 984
3121 2012. 8.18.흙날. 후덥하더니 비 한바탕 옥영경 2012-09-10 965
3120 2012. 8.17.쇠날. 굵은 비 가다오다 옥영경 2012-09-10 1106
3119 2012. 8.16.나무날. 장대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2-09-10 1072
3118 2012. 8.15.물날. 멀리 번개. 밤비, 서울은 물에 잠겼다 하고 옥영경 2012-09-09 1031
3117 2012. 8.14.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2-09-09 980
3116 2012. 8.13.달날. 비 옥영경 2012-09-08 982
3115 2012. 8.12.해날. 길 것 같은 비 옥영경 2012-09-08 995
3114 2012. 8.11.흙날. 갬 옥영경 2012-09-08 857
3113 2012년 여름을 보내며 네게 옥영경 2012-09-04 981
3112 2012학년도 가을학기(9/1~11/30),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12-08-13 1220
3111 153 계자(8/5~8/10) 갈무리글 옥영경 2012-08-13 1526
3110 153 계자 닫는 날, 2012. 8.10.쇠날. 비 옥영경 2012-08-13 1236
3109 153 계자 닷샛날, 2012. 8. 9.나무날. 안개비 아주 잠깐 옥영경 2012-08-12 882
3108 153 계자 나흗날, 2012. 8. 8.물날. 살짝 구름 지난 오전 옥영경 2012-08-10 1426
3107 153 계자 사흗날, 2012. 8. 7.불날. 맑음 옥영경 2012-08-09 114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