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에서 섬사랑 6호를 타고

안좌도와 팔금도 사이를 지나

비금도 건너 도초도에 잠시 닿았다가

고기가 떨어진 무인도 어락도를 스쳐

목포에서 떠난 배를 세 시간 반 타고 닿는 우이도.

 

짐을 풀고 노시인과 가객을 따라 돈목해수욕장을 돌며

노시인이 일러주는 갯메꽃, 숨비기나무열매, 통보리사초를 더듬다가

때마다 바다에서 얻은 것들로 차린 푸진 밥상을 받았습니다.

조촐한 출판기념회가 이틀 밤 내리 있었고,

한밤 떨어지는 별빛 아래서 목청껏 노래도 불렀고,

이른 아침엔 돈목 바닷가를 뛰었으며,

한낮엔 모래밭에서 조개를 캤고,

도리산에 올라 다도해를 내려다봤으며,

바다로 떨어지는 해를 오래 보았고,

더러는 낚시를 하고 마을길을 걷고 바닷가를 걸었으며

성촌으로 넘어가 모래사막도 걸었습니다.

바다 시인이 있었고 가객이 있었고

소설가가 있었고 책 꾸미는 이가 있었고 화가가 있었고 출판인이 있었고

바닷가 카페 주인들이 있었고 산악인이 있었고 방송국 PD가 있었고

그리고 아이와 산골 선생이 거기 있었지요.

화백과 같은 방에 묵으며

그의 곁에서 그와 시인이 주고받은 그림과 글을 엮은 책을 읽고

그 글과 그림에 대해 묻기도 했습니다.

함께 비행기를 타고 떠났던 길고 오랜 여행을 했던 이와

또 그렇게 먼 섬에서 해후하여 묵음 감정을 털기도.

굳이 말로 이러저러 사정 얘기 안해도 그저 얼굴 보는 게 해명이 되기도. 

그런데, 사실 세상의 많은 일은 털어도 안 털어도 되는 감정들 아닐지.

안 턴들 어쩔 것인지요.

오해는 오해대로 진실은 진실대로 흘러가면 그 뿐.

그냥 흐름따라 가는 거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3906 146 계자 닷샛날, 2011. 8.11.나무날. 비 뿌리다 / 산오름 옥영경 2011-08-29 1214
3905 146 계자 닫는 날, 2011. 8.12.쇠날. 해, 반갑다, 그리고 다시 내리는 가랑비 옥영경 2011-08-29 1300
3904 147 계자 갈무리글(2011. 8.19.쇠날) 옥영경 2011-08-29 1560
3903 2011. 8.13.흙날. 맑음 / 14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1-08-30 1173
3902 147 계자 여는 날, 2011. 8.14.해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30 1243
3901 147 계자 이튿날, 2011. 8.15.달날. 흐림 옥영경 2011-09-01 1237
3900 147 계자 사흗날, 2011. 8.16.불날. 늦은 오후 살짝 비 지나고 옥영경 2011-09-01 1264
3899 147 계자 나흗날, 2011. 8.17.물날. 빗방울 몇 옥영경 2011-09-05 1198
3898 147 계자 닷샛날, 2011. 8.18.나무날. 비 갬 / 산오름 옥영경 2011-09-06 1371
3897 147 계자 닫는 날, 2011. 8.19.쇠날. 맑음 옥영경 2011-09-06 1241
3896 2011. 8.20.흙날. 비 옥영경 2011-09-08 1312
3895 2011. 8.21.해날. 갬 옥영경 2011-09-08 1218
3894 2011. 8.22.달날. 맑음 옥영경 2011-09-08 1058
3893 2011. 8.23.불날. 흐림 옥영경 2011-09-08 1102
3892 2011. 8.24.물날. 비 옥영경 2011-09-08 1260
3891 2011. 8.25.나무날. 갬 옥영경 2011-09-08 1035
3890 2011. 8.26.쇠날. 빗방울 좀 옥영경 2011-09-08 1067
3889 2011. 8.27.흙날. 갬 옥영경 2011-09-08 1111
3888 2011. 8.28.해날. 볕 옥영경 2011-09-08 1107
3887 2011. 8.29.달날. 맑음 옥영경 2011-09-08 115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