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26.불날. 흐림

조회 수 785 추천 수 0 2013.03.09 05:25:20

 

 

연탄이 들어왔습니다.

유난히 추웠던 겨울은 연탄도 여느 해 양으로는 아니 되었던 게지요.

하여 이 봄에 다시 천 장을 들여놓았습니다.

 

이 시대 정말로 열 손가락에 꼽을 수 있는 단어만으로 대화하는 여고생을 보고

어휘 수의 빈곤을 느끼는 어른이 어디 한둘이던가요.

저 상태라면 의사소통이 되기는 하는 걸까 갸우뚱거리게 되지요.

저들끼리도 상대가 무엇을 말하는지

상대의 마음속을 알고 있다는 생각이 도무지 들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이 지점에서 한 老 철학자,

어찌 보면, 요즘 아이들이

일부러 오해의 여지가 있는 소통을 하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지요,

그것이야말로 소통의 왕도이기 때문에.

열 개 남짓한 형용사로 이뤄지는 극도로 빈곤한 대화에 참가한 사람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서로 잘 모르겠는 상태이기 때문에

비로소 따라서 회화가 소통으로서 성립한다는 것.

그러니까, 오해의 여지가 없는 소통이 아니라

오해의 여지가 확보된 소통이야말로 우리가 소통하고 있음을 실감하게 한다는 이야기.

말이란 게 앞뒤 맥락이 있는 것이라 이렇게 달랑 말하자면

애초 들으라고 하는 말이 무슨 소리냐 되물어오기 십상이긴 하겠는데,

저 역시 어휘의 빈약함으로 인하야...

노 교수는 이어 이리 말합니다.

“이 극도로 빈곤한 어휘는 ‘말하고 싶은 것을 제대로 말하라’며 정형화된 자기표현을 강제하는 학교 교육에 대한 아이들의 반항이 아닐까. 학교 교육에서 쭉 옳다고 여겨온 방식으로는 소통이 불가능하다고 느낀 아이들이 일종의 자발적 실어증을 앓는 것으로 문 닫힌 소통을 회복하려 한다는 느낌이 든다.”

으음, 그럴지도 모른다는 공감.

 

바로 이 철학자의 대중서를 읽고 있는 중.

자크 라캉의 <정신병 下>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하는 장면이 있는 것은 일부러 그랬다고 말하기는 그렇습니다만 실은 명백한 의도가 있습니다. 이 오해의 폭에 의해서 여러분은 내가 말하는 것을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여러분은 불확실하고 애매한 위치에 멈춰 있습니다. 그럼으로써 오히려 정정(訂定)의 길을 열어두고 있는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내가 만약 쉽게 알기 쉬운 방식으로, 여러분이 알았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면...... 오해 따위는 생겨날 리 없겠죠.’

 

이 말은 어떤 의미에서 소통에 관련된 우리의 상식을 통째로 뒤집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통의 본질을 이만큼 예리하게 파악하고 있는 말은 세상에 또 없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통찰력이 풍부합니다. 이처럼 우리가 소통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거기에 ‘오해의 폭’과 정정(訂定)으로의 길’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오래 오늘 곱씹고 있는 장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326 2013.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13-03-29 880
3325 2013. 3.15.쇠날. 맑음 옥영경 2013-03-29 890
3324 2013. 3.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3-29 724
3323 2013. 3.13.물날. 봄비 옥영경 2013-03-29 816
3322 2013. 3.12.불날. 흐려가는 오후 옥영경 2013-03-29 723
3321 2013. 3.11.달날. 맑음 옥영경 2013-03-29 748
3320 2013. 3.10.해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1011
3319 2013. 3. 9.흙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802
3318 2013. 3. 8.쇠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1037
3317 2013. 3.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779
3316 2013. 3. 6.물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789
3315 2013. 3. 5.불날. 저녁에 살짝 구름 옥영경 2013-03-25 863
3314 2013. 3. 4.달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885
3313 2013. 3. 3.해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733
3312 2013. 3. 2.흙날. 맑음 옥영경 2013-03-09 930
3311 2013. 3. 1.쇠날. 흐림 옥영경 2013-03-09 831
3310 2013. 2.2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3-09 775
3309 2013. 2.27.물날. 맑음 옥영경 2013-03-09 754
» 2013. 2.26.불날. 흐림 옥영경 2013-03-09 785
3307 2013. 2.25.달날. 조금 흐린 옥영경 2013-03-09 798
XE Login

OpenID Login